earticle

논문검색

엔터테인먼트

대학생들의 발달자산, 스트레스 및 위험행동의 구조적 관계

원문정보

The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Developmental Assets, Stress and Risk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김훈희, 황영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assets, stress and risk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1023 university students. Questionnaire organized by scales of developmental assets, stress and risk behaviors was us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ternal assets made direct effects on stress and risk behaviors. External assets made direct effects on stress. Second, mediating effects of stre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lations between developmental assets and risk behaviors. External assets were complete mediating effects by making effects indirectly on risk behaviors through the stress. Internal asset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발달자산과 스트레스 및 위험행동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학교 1학년부터 4학년 학생들 1023명이며, 측정도구는 발달자산 척도, 스트레스 척도, 위험행동 척도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변인들의 정규분포, 다중공선성, 상관관계 및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외적자산이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스트레스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내적자산은 스트레스 및 위험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외적자산, 내적자산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외적자산은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위험행동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이 유의미하였다. 내적자산도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위험행동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이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발달자산은 스트레스의 증감에 따라 위험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내적자산은 위험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발달자산과 스트레스 및 위험행동이 관계가 있으며, 특히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및 위험행동을 감소하기 위하여 내적자산 증진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측정도구
  2.3 자료분석
  2.4 연구모형
 3. 결과
  3.1 측정변인의 상관, 평균 및 표준편차
  3.2 모형검증 결과
 4. 결론 및 제언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김훈희 Hun-Hee Kim. 진주보건대학교
  • 황영신 Young-Shin Hwang. 경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