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義龍 體訓의 문학세계

원문정보

The Literary World of Euiryong Chehoon(義龍體訓)

의룡 체훈의 문학세계

김종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author of Euiryongjip (義龍集) included in The Complete Collection of Korean Buddhism (韓國佛敎全書) and to examine its literary characteristics. The writer of Euiryongjip is Euiryong Chehoon (義龍 體訓) who was presumably born in the early 1820s and died in the early 1890s. The Buddhist priest’s teacher was Chimsong Gyeeon (枕松戒彦. mid and late 19th century), and his main dwelling was the Beomeo sa Temple(梵魚寺). As the priest’s poems contain recollection of and reflection on his life and are used as a medium for venting out remorse of life, they may be considered to express the poet’s poetic view for the practical use of poetry. In addition, his poetry is remarkable in the manifestation of lyricism through the poetic exploration of external things, and the collection upgrades the value of local literature by its inclusion of poems written together with government officials in the Dongrae(東萊) area and those related to Mt. Geumjeong(金井山) and the Beomeo sa Temple. The priest’s poems are characterized more by the poet’s personality inclined to poetic exploration in his daily life than by Zen thought. What is more, his literary nature full of lyricism is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at it could lead to the sense of modern lyrics following just after him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ontinuance and comparison between modern and premodern poetry. Euiryong wrote Moyeonmun (募緣文-A Buddhist monk’s writing for encouraging donations and seeking the establishment of good relationships) and Jungchanggi (重創記-records on temple reconstruction) for various Buddhist projects, and was involved in Sachalgye (寺刹契-a mutual aid society of the temples) and left inscriptions recording its process and purpos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Beomeo sa Temple could wage innovative movements on missionary work, educ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religious order based on the tradition of the temple in operating a number of Sachalgyes, the priest’s inscription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reflect such a situation. Beomeo sa Pyemak Jogeongi (梵魚寺弊瘼條件記-Records on the evil practices of the Beomeo sa Temple and measures against them) reflects the economic situation faced by the Beomeo sa Temple in the mid and late 19th century, and Beomeo sa Seunggun Deungjang (梵魚寺僧軍等狀 Beomeo sa Temple monk army’s petition) describes contemporary situations related to how the government offices treated the Beomeo sa Temple monk army and how the Beomeo sa Temple responded to the treatment. These support the value of engagement literature contained in the priest’s inscriptions.

한국어

본고는 조선후기 문집으로 작가가 밝혀지지 않은 채『한국불교전서』에 수록된 『義龍集』의 작가를 밝히고 그 문학적 특징을 살펴본 글이다. 『의룡집』의 작가는 義龍 體訓으로 1820년대 초에 출생하여 1890년대 초에 입적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사의 스승은 枕松 戒彦(19세기 중후반)이며 대사의 주요 활동 공간은 범어사이다. 대사는 삶에 대한 회고와 성찰을 시에 담아내었고, 시를 인생의 회한을 풀어내는 매개로 활용하고 있어 효용 론적 시론을 실제의 시를 통해 표출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 대사의 시는 외적 사물에 대한 시적 탐구를 통한 서정성의 발현이 두드러진다. 동래지역의 관료들과의 교유시, 금정산과 범어사의 지역적 소재를 담은 시 는 이 문집의 지역문학적 가치를 담보하는 요인이 된다. 대사의 시에는 선적 사유보다는 일상에서 시적 탐구를 진행하는 시인의 면모가 더 부각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대사의 서정성이 충만한 문학적 성격은 다음 세대의 근대 서정시의 감각으로 이어질 수 있고, 근대와 전근대 문학의 지속과 비교 가능성을 제기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대사는 여러 불사에 모연문이나 중창기를 썼고 사찰계(甲契, 宗契)에 참여했으며 그 과정과 목적을 기록한 기 문(「임오갑헌답유공기(壬午甲獻畓有功記)」, 「종계서(宗契序)」)을 남겼다. 범어사가 근대에 포교 교육 종단 운 영에서 혁신적인 운동을 전개할 수 있었던 저변에 다수의 사찰계를 운영해 왔던 범어사의 전통이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대사의 기문은 이러한 상황을 일부 반영하는 것으로서 의의가 있다. 「범어사폐막조 건기(梵魚寺弊瘼條件記)」에는 19세기 중후반에 범어사가 당면한 경제적 상황이 반영되어 있고, 「범어사승군 등장(梵魚寺僧軍等狀)」에는 범어사 승군에 대한 관가의 대우가 어떠했고 그에 대한 범어사 차원의 대응은 어 떠했는지 당시의 현실 상황이 담겨 있다. 이를 통해 대사의 기문이 지니는 현실문학적 가치를 인정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의룡 체훈의 소개
 3. 의룡 체훈의 詩 세계
 4. 記文의 내용과 성격
 5. 의룡 체훈 문학의 의의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종진 Kim, Jong-jin. 동국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