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베포도업침>ㆍ<천지왕본풀이>의 구조를 통해 본 창세신화와 영웅신화의 관계

원문정보

The Narrative Structure and Correlation of "Creation" and "Heor" in Jeju Shamanistic Myth, <Bepodoeopchim>and <Chonjiwang Bonpuri>

신연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beginning of the shamanistic ritual in Jeju Island, shamans sing and , sometimes in succession, sometimes separately. These two narratives share the motifs of creation myth and hero myth in common. I would like to show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these two stories are functioning as one plot. The motif of and lies in order like this; the first condition (Creation)-problematic condition-attempt to solve-solution-new problem-present condition(earthly evils). The myth ends but the evil lasts to the present. We can also show the common ground plot of and . 1. Cosmic Creation --------- the first condition2. Re-creation ---------- problem and attemp to solve3. Birth of the son(of ---------- birth of the heroheavenly king andearthly mother)4. the son's solving of the --------- problem solving of the heroproblem5. setting up the order of --------- new order and unfinished problemsthe earth 1 and 2 are creation myth, 4 and 5 are hero myth. 3 is the bridge that combine the creation and the hero. The myths of and explain how the hero got the capability to solve the earthly problems. The problem of "nature-man" of and that of "man-man" of are different but the aspect of the problem-solving is similar. The motif of the beginning of the world is in and that of the competition of blooming flower and playing riddles is in only. For the heavenly beings have different level of order from that of the earthly human beings, they cannot settle the earthly problems fundamentally. We need the heavenly-earthly being to solve the problem; a hero. He needs earthly elements to understand earthly problems, and on the other hand, he needs heavenly elements to have the super power and capability far beyond the earthly man to solve the problem. To have this hero we need a celestial being as his father and an earthly woman who goes through a hard time in this very world as his mother. The self awareness of his existence is like a rebirth and it is we call an initiation.

한국어

제주도 굿의 대표적 의례인 초감제에는 무가 <베포도업침>과 <천지왕본풀이>가 들어 있다. <베포도업침> 의 자연-인간의 문제와 <천지왕본풀이>의 인간-인간의 문제의 차이가 있고 그 해결의 서사는 유사하다는 것 이 드러난다. 처음의 상황인 천지개벽은 창세신화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독립적인 화소이다. 무질서에서 질서 로 이행하는 것이 바로 창조 또는 창세이다. 해와 달이 둘씩 있다거나 기껏 만들어놓은 지상에 악인이 존재한 다는 것은 창세가 인간에게 불완전한 것이며 창세가 새롭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이나 불로 세상을 징치하는 신화가 보편적으로 존재한다. 이를 천지재창조신화라 할 수 있다. 일월 문제 등을 천지왕이 해결하지 못하고 지상녀와 혼인하여 아들 형제를 얻는 내용인 해결시도와 해결방안을 하 나로 묶어볼 수 있다. 성장한 아들 형제가 일월문제나 수명장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문제 해결이다. 다음으 로 아들들이 이승을 놓고 경쟁하여 결국 소별왕이 이승을 차지한 결과 이승에 악이 지속되고 말게 된 것은 결 과이다. 이러한 서사구성을 간략히 ‘1.천지개벽, 2.천지 재창조 필요, 3.아들 형제 탄생, 4.아들형제가 문제 해 결, 5.이승법 마련’ 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천상의 존재는 인간 현실과 다른 차원의 질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상의 문제를 천상의 힘으로 일시적으로 해결할 수는 있어도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상적이면서 천상적인 존재가 필 요하다. 지상적인 요소는 지상의 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갖기 위해서이고 천상적인 요소는 지상을 뛰어넘는 능 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존재를 갖기 위해서 하늘에서 내려온 아버지와 지상에서 고난을 겪고 사는 어머니가 필요하다. 이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은 지상에서의 삶의 고난의 문제를 자신의 것으로 수용해서 문제 를 해결하려는 의지를 가지며, 천상의 안목과 능력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렇게 정신적인 것 영적인 것 문화적인 것을 아는 것은 자연의 창조와는 다른 인간 사회에 더욱 긴요하다. 자 연의 창조를 모방하지만 필요한 것은 인간 사회의 건설이다. 영웅의 최종 목표는 바람직한 사회를 건설하는 것이다. 제주도의 초감제 신화를 통해서 제주도를 넘어서는 신화론을 점검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자료의 양상
 3. 서사구조 재구
 4. 서사 구성 항목의 분석
 5. 창세신화와 영웅신화의 접맥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연우 Shin, Yeon-woo. 서울과학기술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