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화이론ㆍ분석

초기영화를 경유하여 디지털 지표성과 역사쓰기의 문제로 : <휴고>가 디지털 영화 미학에 제기한 질문들

원문정보

The Issue of Digital Indexicality and Historical Writing via Early Cinema:The Questions Raised by <Hugo>

박영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ought triggered by Martin Scorsese’s (2011) on the discussion of digital cinema. The state-of-the-art 3D technology used in functions as a mechanism to restore early cinema’s attractions and visual/physical firsthand experience of viewing. In , there are early cinematic perspectives that tried to describe modern machinery (train, clock and automaton) as attractive objects and imaginations that tried to transform such physical realities via cinematic manipulation. They start to activate with dedication to the life and works of Georges Melies, a pioneer in the area of magical cinema. Early cinematic (filmic) elements at the time of create strained relations with digital technology and help to think about the conditions of contemporary digital cinema. The core of this seems to be that it brings the possibility to think again the issue of indexicality, a huge theoretical dilemma placed between film images and digital images, not from the aspect of realism but from the aspect of fantasy. If one does not have fundamental belief in the indexicality of pre-cinematic objects, Melies-type tricks cannot be operated properly. It is because Melies’ magical tricks only work with such astonishment that although film images describe pre-cinematic reality as it is, ‘how such a thing that a man can appear or disappear all of a sudden can occur?’ However, with the digital fantasy, this issue is no more wonder. In reality, scenes that seem to be impossible to be directed are made from digital special effects undoubtedly and all the people have belief in it. If one does not want to give up attractions for ‘the thing that makes the thing that seem to be impossible to be realized occu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belief in that digital images also can have indexicality on a level of representation and the confidence-based theorization. The indexicality issue of digital image is connected with the difficulty of historical writing of digital cinema as well. If the history contained in digital images can function as an archive, it is necessary to recover the belief in the relations between cinema and world first of all. The latter part of provides a related proviso, and it can be analyzed with the methodology of ‘Narratography’, a conception created by Garrett Stewart focusing on narrative’s structural strata and media strains. This implies technological improvement in the birth period of cinema and reveals media’s archeological desire to attract filmic archives into the internal logic of digital cinema.

한국어

본고는 마틴 스콜세지의 <휴고>(2011)가 촉발시키는 사유들이 디지털 영화 논의에 가져올 수 있는 의미들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휴고>에 쓰인 최첨단의 3D 기술은 초기영화의 어트랙션과 시각적이며 신체적인 체험의 관람성을 다시 복원하는 장치로 기능한다. 거기에는 근대적 기계장치(기차, 시계, 오토마톤)들을 매혹적 대상 으로 보고 기록하려 했던 초기영화적인 시선과, 또 그러한 물리적 현실을 영화적 조작을 통해 변형하려 했던 상상력이 있다. 이는 마술적인 영화의 선구자 조르주 멜리에스의 생애와 그의 작품에 대한 헌사와 함께 작동 한다. <휴고>에서 소급하는 초기영화적인 (필름적) 요소들은 디지털 기술과 긴장 관계를 만들어내면서 동시대 디 지털 영화의 조건들을 사유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중 핵심적인 것은 필름 이미지와 디지털 이미지 사이에 놓 인 거대한 이론적 난제인 지표성이라는 문제를 리얼리즘의 관점을 넘어 판타지의 관점에서 재사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멜리에스적인 트릭은 근본적으로 전영화적인 것에 대한 지표성을 믿지 않고서는 제대로 작동할 수 없다. 왜냐하면 멜리에스의 마술적 트릭은 영화 이미지가 전영화적 현실을 그대로 담아내는 데도 불구하고 ‘어떻게 사람이 갑자기 사라지거나 나타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느냐’는 놀라움을 통해 작동하 기 때문이다. 그러나 디지털적 판타지에서 이 문제는 더 이상 경탄 거리가 되지 않는다. 실제로 연출하기 불가 능해 보이는 장면들은 당연히 디지털 특수효과를 통해 만들어지며 누구나 그렇게 믿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 불가능해 보이는 일을 가능케 하는 것’에 대한 매혹을 포기하지 않으려면, 디지털 이미지에도 재현적 층위에 서는 지표성이 존재할 수 있다는 믿음과 이에 기반한 이론화가 함께 필요하다. 디지털 이미지의 지표성의 문제는 디지털 영화의 역사쓰기의 곤경과도 연결된다. 디지털 이미지에 담긴 역사 가 아카이브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으려면, 영화와 세계의 관계에 대한 믿음을 회복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 다. <휴고>의 후반부는 이와 관련된 단서를 제공하는데, 이를 가렛 스튜어트가 내러티브의 구조적 층위와 매 체적 긴장을 주목하며 만들어낸 개념인 ‘내레이토그래피’의 방법론을 통해 분석해 볼 수 있다. 이는 영화 탄생 기의 기술적 발전을 함축하며, 필름적 아카이브를 디지털 영화 내부의 논리로 끌어들이기 위한 미디어 고고학 적 욕망을 드러내는 것이다.

목차

1. 들어가며
 2. 멜리에스적 판타지와 어트랙션에 대한 디지털적 전용
 3. 디지털 지표성의 문제
 4. 내레이토그래피의 작동, 아카이브와 역사쓰기
 5. 나오며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박영석 Park, Young-seok. 중앙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