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Interdisciplinary Study on Bronze Age Artifacts in Midwestern Korea :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Presumption for Stone Artifacts of the Sinsongri Site in Seosan
초록
영어
The stone artifacts in Bronze age from the Sinsongri sites in Seosan, Korea were studied on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presumptions. The use and rock names of the artifacts are a stone before processing, two semifinished stone arrowheads and a grinding stone plate by slates. In addition, there is semifinished stone arrowhead by andesitic rocks. The slate could be observed easily around the site, and the andesitic rock could be confirmed typical occurrences of the all kinds of rocks around the Kanwoldo and Hwangdori, Anmyun area above 10km from the site. As a result of analysis which is comparing between stone artifacts and same kinds of raw material rocks, the stone artifacts made by slates have similar lithology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 stone artifacts made by andesitic rocks are found a some different part of characteristics to the same kind of raw material rocks. Comparing of major, rare earth, compatible and incompatible elements about stones artifacts made by slates and by the same kinds of raw material rocks have same geochemical patterns. However stone artifacts made by andesites and the raw material rocks are confirmed some differences of geochemistry. Therefore the slate stone artifacts in Sinsongri site suggest that these are domestic-type which are made of the rocks around the site, and it was understood that the andesitic stone artifacts are foreign-type which need to get more geological survey and study about different volcanic artifacts of the site around the area.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서산 신송리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석기를 대상으로 재질분석과 석재의 원산지를 검토하였 다. 연구대상 석기는 점판암제 석재 1점, 석촉 반제품 2점, 갈판 1점 및 안산암질암 석촉 반제품 1점이다. 점판암은 유적지 일대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암석이나, 안산암질암은 10km 이상 떨어진 부석면 간월도와 안면읍 황도리 등에서 산출된 다. 석기 구성암석과 추정산지 암석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 점판암제 석기는 재질 및 암석광물학적 특징이 거의 동일하였 으나, 안산암질암 석기는 추정산지 암석과 일부 다른 특징이 나타났다. 주원소, 미량원소, 호정 및 불호정원소에 대한 비교에서도 점판암제 석기와 추정산지 암석은 동일한 경향을 보였으나, 안산암질암 석기와 추정산지 암석은 다소 차이 가 있다. 따라서 신송리유적에서 출토된 점판암제 석기는 유적 주변에 분포하는 암석을 원료로 제작한 자급형 석기로 해석된다. 그러나 안산암질암 석기는 외래형 석기로 추정되며, 광역적 조사를 비롯한 주변 유적에서 출토된 화산암제 석기에 대한 연구를 병행하여 종합적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현황 및 시료선택
3.1. 지형 및 지질
3.2. 시료선택
4. 석기의 분석결과
4.1. 전암대자율
4.2. 암석 및 광물학적 특징
5. 석재의 산지해석
5.1. 산지탐색 및 시료채취
5.2. 재질특성과 유사성
5.3. 지구화학적 거동특성
5.4. 산지추정
6. 결론
사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