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서천 봉선리유적 출토 철제대도의 금속학적 조사 및 기능성 고찰

원문정보

Metallurgical Investigation and Functional Consideration of the Iron Swords from Bongseon-ri Site in Seocheon

조현경, 정영상, 조남철, 이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Bongseon-ri site, the central type and the local type of the Baekje tombs co-exist together. Many swords with ring pommel which to regional leaders in Seocheon the Beekje government granted are excavated from these tombs. These represent that the regional leaders were controlled by the Baekje government gradually. Four swords with ring pommel and one simple sword are investigated metallurgically and we seek what swords have a function of weapon or what sword produce for grave goods. The simple sword is made by solid carburizing technology and quenching of heat treatment so it’s possibly used as a weapon. In contrast, four swords with ring pommel has little chance of weapon because the blade of swords consists of microstructure that have low hardness and the back of swords don’t have microstructure can absorb the shock. The most identical characteristic of the simple sword and swords with ring pommel is that they are possible to classify clearly into practical/non-practical tools. Additionally, according to non-metallic inclusion analysis result of these swords, wüstite and glass phase are found together. Thus, it is able to say that reduction method in low temperature is applied during smelting process.

한국어

서천 봉선리유적은 백제의 중앙과 지방의 묘제가 혼재하고 있는 유적으로 백제 중앙에서 재지세력에세 사여한 것으로 추정되는 환두도가 다량 출토되었다. 이것은 재지세력이 백제 중앙의 관리 하에 놓이는 과정을 나타내는 부장유 물로 추정된다. 이 중 4점의 환두도와 1점의 목병도를 대상으로 금속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무기로서의 실용적 기능과 부장용⋅의장용으로써의 비실용적 기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목병도 1점은 담금질과 고체침탄의 제강기술을 이용하 여 제작되었으며 무기로서의 실용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반면 4점의 환두도는 인부에는 강도가 작은 미세조직이 나타나고 배부에서 충격을 흡수할 만큼의 미세조직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목병도에 비해 무기로서의 기능은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즉, 서천 봉선리에서 출토된 목병도와 환두도는 실용기와 비실용기로 명확히 구분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 고 할 수 있다. 또한 미세조직 내에 존재하는 비금속개재물을 분석한 결과 우스타이트와 유리상이 함께 발견되므로 제련 공정에는 저온환원법이 적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3.1. 소환두도(No. 1)
  3.2. 삼엽환두도(No. 2)
  3.3. 소환두도(No. 3)
  3.4. 목병도(No. 4)
  3.5. 소환두도(No. 5)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조현경 Hyun Kyung Cho.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정영상 Young Sang Jung. 국립중앙과학관
  • 조남철 Nam Chul Cho.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훈 Hun Lee. 전)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