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나르꼬문학(Narcoliteratura)에 반영된 멕시코의 탈국가화와 비공식영역의 확장

원문정보

Post-national Mexico and The Expansion of Informal Sector in Narcoliterature

박정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studies on the so-called “Narcoliterature,” which reflects onthe issue of drugtraffickers and their violence associated with Mexico’s postnationaland global context during the last two decades. However, this genre hasbeen accused of excusing illegal and immoral activities by taking advantage ofpeople’s curiosity and eventually fetishizing violence and murder. Other critics,on the other hand, began to appreciate this genre since it demonstrates not onlythe failure of national project and the explosion of informal sector as a result ofneoliberal globalization, but that it also invites us to critically understand thecurrent political and economical situation of Latin America. This study, thus, aimsat exploring its possibilities as well as limits by highlighting historical evolution ofthe drug industry and by examining esthetical elements of Narconovels. Inparticular, Élmer Mendoza, known as the “father of Narcoliterature,” has showedthe regional “costumbres” of Sinaloa and US- Mexico borderlands in the differentforms of literary genres such as testimony, reports, Bildungsroman, and detectivenovel. First, Mendoza focused on recovering the “voiceless” voices of smalltraffickers, stigmatized and accused by the government and official media bydescribing them as victims of transnational politics of “prohibition.” However, asthe drug business became more industrialized and institutionalized causing aendless circle of violence and vengeance, he tents to distance himself form hisearlier opinion and to focus more on unveiling the structure of corruption andimpunity of the Post-national Mexican society. In doing so, Mendoza brings usto cast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impacts of neoliberal economy and theexplosion of informal sectors.

한국어

본 논문은 탈국가 현상과 맞물려 멕시코에서 최근 이십 년 동안 폭발적으로 성장한 마약산업과 폭력의 문제를 직· 간접적으로 투영하는 나르꼬문학을 소개하고자 한다. 나르꼬문학은범죄, 마약에 연루된 주인공과 그 주제를 다루 는 서사양식으로 정의되며, 불법적이고 비도덕적인 소재를 상업적으로 이용하여 폭력과 살인을 물신화하는 결과를 낳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이 장르가 신자유주의 세계화로 인한 국가 프로젝트의 실패와 비공식부문의 팽창이라는 새로운 현실을 반영하는 동시에, 이에 관한 비판적인 성찰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그 존재가치를 인정해야 한다는 의 견으로 맞서고 있다. 이렇게 나르꼬문학을 둘러싼 논쟁지점을 확인하고 이 장르가 성립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전개 과정 및 서사양식과 미학적 특징을논의함으로써 그 한계와 가능성을 살펴보려는 것이 이 논문의 취지이다. 특히, ‘ 나르꼬문학의아버지’라 불리는 엘메르 멘도사(Élmer Mendoza)는 마약과 폭력의 문제를 증언과 연대기로,그리고 이후 교양소설과 탐정소설이라는 형식을 통해 멕시코 북서부의 시날로아 지역과 미국-멕시코 경계지대의 ‘풍속’을 그려왔다. 초기의 멘도사는 미국의 수요에 의해 마약산업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나르꼬들에게 범죄자의 낙인을 찍 고 강경진압으로 폭력을 들여온 정부를 비판하고 이 지역 주민들에 대한 연민을 공동체적 입장과 내부자적 시선을 통해 담아내고자 한다. 그러나 마약거래가 점점 더 산업화되고 이들의 행위가 폭력의 악순환의 구조를 만들게 되자, 이중 부정의 변증법을 통해 부패와 폭력의 구조를 분석하고 비판하는 동시에 회의와 무기력감을형상화하면서 현실 변화에 대한 열망을 표현한다. 이를 통해, 멘도사는 신자유주의 경제의 문제점과 비공식영역의 확장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새로운 문 학적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목차

초록
 I. 서론
 II. 나르꼬서사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
 III. 비공식화 현상과 하위문화의 생성
 IV. 엘메르 멘도사, ‘나르꼬문학의 아버지’
 V. 폭력의 계보학과 벌거벗은 생명의 재생산
 VI. 나르꼬현상에 관한 이중 부정의 변증법
 VII. 결론 - 나르꼬문학의 한계와 가능성 사이에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정원 Jungwon Park. 경희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