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스 스타덴의 『진실한 이야기』(1554)에 대한 상이한 관점의 영화적 재현: <내 프랑스인은 얼마나 맛있었나>(1971)와 <한스 스타덴>(1999)

원문정보

Different Ideological Perspectives of Cinematographic Representation on Hans Staden’s True Story (1554): HowTastywasMy Little Frenchman (1971) and Hans Staden (1999)

임호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ntroversy over the historical practice of cannibalism by NativeAmericans is not limited to an anthropological issue. The cannibal discoursespread out among Europeans in the beginning of the conquest of America, asfor Europeans it became an excuse for the conquest and slavery of nativepeople, and for American Natives it was used to acknowledge their savageryand the reason for accepting the colonial domination. Especially Hans Staden’s1557 narrative of captivity with the cannibalistic Tupinamba of Brazil wasconsidered as an irrefutable evidence of cannibalism among American Nativesuntil the time when William Arens questioned the evidence by indicating theWestern obsession with cannibals in 1979. This article examines two versions ofcinematographic representation of Staden’s account. Nelson PereiraDos Santos’film, Como era gostoso omeu francês (HowTastywasmy Little Frenchman) (1971),which incorporated the late 1960’s tropicália aesthetic into a cinematographicidiom, presented scenes where an European captive finally finished to be eaten. As a liberal adaptation of Staden’s True Story, it adduces an anthropophagiccritique of European colonialism. In Luiz Alberto Pereira’s film, Hans Staden,although the director declared that he tried to remain as faithful as possible tothe original text, the ingenuous intention in fact results in ignoring ideologicalfilters and allegorical homiletics designed to demonstrate the Christiansuperiority. As a result, the film’s message reproduces conventional andEurocentric perspectives of Hans Staden’s text.

한국어

1979년 윌리엄 아렌스가 이의를 제기하기 전까지, 1557년 독일 말부르크에서 출판된 한스 스타덴의 『진실한 이야기』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식인풍습에 대한 결정적인 증언으로 작용했다. 떠도는 소문을 기록한 것이 아닌, 9개월 동안 투피남바족의 포로로 지내면서 자신이 직접 목격한 것을 서술한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스타덴의 수기를 바탕으로 제작된 두 편의 영화를 검토하고 그것이 기반하고 있는 이데올로기적 관점을 분석하였다. 먼저, 브라질 모더니즘의 미학적·정치적 기반이 된 식인주의에 영감을 받아 1971년 넬슨 페레이라 두스상투스 감독이 만든 <내 프랑스인은 얼마나 맛있었나 Como era gostoso o meu frances>는 식인이 야만이라는 유럽인들의 관점을 뒤집어서, 오히려 식인을 축하하고 정체성화하고 있다. 그럼으로써 유럽의 식민주의에 대해 통렬한 비판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유럽인의 브라질 도착500주년을 맞아 제작된 루이스 알베르투 페레이라 감독의 <한스 스타덴 Hans Staden>(1999)은 원전에 충실하겠다는 감독의 의도대로 원주민들의 분장, 복장, 가옥, 풍습 등의 재현에서 스타덴의 수기를 성실하게 고증하고 있다. 물론 식인풍습의 재현 역시 원전에 묘사된 대로 많은시간을 할애하여 상세하게 재현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진실한 이야기』가 내포하고 있는 유럽중심적인 시각을 그대로 재생산하는 우를 범하고 있다. 스타덴의 수기에 대해 여러 학자들이진실성을 의심하고 있는 상황에서 브라질에서 제작된 영화가 오히려 유럽인의 텍스트를 비호하고 있는 아이러니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목차

초록
 I. 서론
 II. 『진실한 이야기』의 구성과 시각
 III. <내 프랑스인은 얼마나 맛있었나>(1971) 의 전복적 이데올로기
 IV. <한스 스타덴>(1999)의 유럽 중심적 관점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호준 Ho-Joon Yim. 서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