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우리나라 상법에 투영된 기업규제와 회사자율의 이념

원문정보

The Corporate Autonomy and Government Regulation under the Current Korean Commercial Code

옥무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utonomy by a corporate charter is one of the basic principles of corporate laws in order to mitigate the rigors of company's mandatory norms and to provide more flexibility for making decisions in each company. In the corporate laws in Korea, the autonomy to ensure more flexibilitie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company has started to appear in the amendment of 1984. It provided legal option clause for the corporate to grant the right of organ selection in cases of determination of the capital raising by the Company's Articles of Association. However, because a number of legal provisions for the flexibility of company's legal system have been successively introduced in the Korean Companies Act since the Exchange Crash in the late of 1997, the corporate autonomy has been paid more attention with the trends of globalization and the modernization of the Korean Companies Act. Especially from the middle of the 1980's,the government has reflected the revision request of the Korean Companies Act about reducing the government regulation and maximizing company's autonomies whenever the various pressure group representing the corporations has requested the revisions from the sight of flexibilities of company's legal system. However, the 2013 company law amendment tries to delete the legal option clause with respect to the corporate governance unlike the mainstream trend of revisions so far, and the very controversial debates are underway because the government would strengthen the regulation to the corporate governance through the amendment of this time. This paper summar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constitutional self- government,which appeared in the several amendments of corporate law and introduced some legal implications which can be generalized from this research. Legal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predict the exact situation of the business environment for companies, company regulations through the regulatory laws should be limited at the minimum level which is agreed on the state and market participants. In terms of the balance between legal regulation and self-autonomy, it is desirable in the realm of corporate law to leave maximum room for the corporate to self decision-making. If possible it is preferable not to regulate on corporate governance by the corporate law as the general commercial law. The more desirable legislative policies as alternative to that regulation policy are: first, regulating corporate governance indirectly through market’s regulatory function and second, regulating directly through corporate regulatory acts except Companies Act.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ule-making attitudes of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Countries are more preferable and it is recommended letting corporate governance regulated through soft laws. The Stock exchange listing standards of the NYSE, Deutscher Corporate Governance Kodex or Corporate Governance Code of Conduct are the most advisable references to approach this problem . Key words : corporate autonomy, corporate governance, double derivative suit, Corporate Governance Code of Conduct, management of the managerial risk, legal option

한국어

정관자치는 회사법제의 강행규범성에서 오는 엄격성을 완화하여 유연화하고자 하는 데에서출발한 회사법제를 이 해하는 기본이념이다. 한국 회사법제상 정관자치를 통한 법제의 유연화는1984년 개정법제에서 정관자치에 입각 하여 자본관련제도의 의사결정 기제에 선택조항을 두어 유연성을 보장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1997년도 외환 위기(外換危機, Exchange Crash)이래로 기업환경의 유연화를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다수의 제도가 회사법제에 차례로 도입되면서 규범의 국제화와 회사법의 선진화 경향과 함께 유연화가 주목되었다. 특히 80년대 중반부터의 정부의 실패(government failure)와 규제완화(規制緩和, deregulation)는 기업법제에서 규제의 최소화 그리고 사단 자치에 의한 회사자율(會社自律)의 확대경향을 반영하여 상법을 개정할 때마다 기업에 우호적인환경의 조성을 위 하여 회사제도의 유연화(柔軟化)를 추진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2013년도 회사법제 개정안은 이러한 주류적인 개 정기조와는 달리 회사의 지배구조 관련 일부 조항에 대하여현행과 달리 법률로 선택의 여지를 없애는 형태로 규 제를 강화하고자 하는 경향을 나타내 보이고있다고 하여 현재 논란중이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기업지배구조 관련법제의 개정논의에 대한 하나의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금까지의 상법개정과정에서 나타난 기업규제와 정관자치 간의 상관관계를소개하고 이로부터 일반화 할 수 있 는 법제적 시사점을 정리한다. 법제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기업환경의 완전성과 확실성에 대한 신뢰가 있을 수 없기 때문에 규제정책은 국가와 시장참여자간의 합의에서 결 정된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 회사지배구조논의를 규제와 자율 간의 균형의 관점에서 정리하여 보면, 회사법에서 는 가능하면 기업의 의사결정의 영역을 최대한 자유롭게 남겨두는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업지배 구조에 대하여 규제는 기업일반법인 회사법에서 규제하는 것은 피하고 그에 갈음하여 시장의 작용기제를 통하여 간접규제(regulate through market scheme)를 하거나 아니면 회사법이외의 다른 기업규제법제들에서 직접규제(regulate directly)하는 입법기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거래소의 관련규정이나 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Corporate Governance Code of Conduct) 등 경성규범(軟性規範, soft law)으로 권고하는 미국 또는 유 럽연합의 입법태도를 배울 필요가 있다.

목차

초록
 Ⅰ. 서설
 Ⅱ. 우리 상법의 개정이력에 나타난 회사규제와 자치이념간의 상관관계
 Ⅲ. 2013년 회사법 개정안에서의 지배구조개편논의
 Ⅳ. 규제와 정관자치관점에서 본 기업지배구조 개정논의의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옥무석 Ok, Moo Seok.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