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 of calligraphic script of Jipangoguryeobi and its influence on Silla calligraphy. The shape and calligraphic script of Jipangoguryeobi, built after Gwanggaetowangbi,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Goguryeo stelae. It is typical of Han stele shape because the head has a triangular shape, and the root shows it originally had a foot. The front is composed of 218 characters. It was written in clerical script with the brush technique of regular script. It can be called “Goguryeo style clerical script” due to its difference with the standard Han clerical script. Its calligraphic style in natural taste is similar to that of 6th century Silla stelae, so it seems to influence on Silla calligraphy. The stele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ancient Korean calligraphy history in two aspects: its calligraphic script in a different taste and its influence on Silla calligraphy.
한국어
본고는 <집안고구려비>의 서체와 그것이 신라 서예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 이다. 이 비는 <광개토왕비>이후에 세워진 것으로, 그 형태와 서체가 지금까지 알려진 고구려비와는 다르다. 碑身은 납작한 장방형이고 碑首는 규형이며, 하부에는 돌기형 뿌리 인 榫頭가 있어 碑座가 있었다는 것을 말해 준다. 전면의 명문은 10행, 매행 22자(마지막 행은 20자)로 총 218자이다. 서체는 해서 필의가 있는 예서인데 한대의 표준 예서와는 달라 ‘고구려풍의 예서’라고 해도 무방하다. 서체의 변천상으로 본다면 古隸인 <광개토왕비>보다 진화한 것으로 예서 필의가 있는 해서인 <중원고구려비> 앞에 두어도 어색하지 않으며, 6세기 신라비의 서풍 과 유사하여 신라 서예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집안고구려비>는 질박한 고구려 예서 서풍을 보여주고, 신라 서풍에 영향을 미친 점 에서 한국 고대 서예사에서 상당히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목차
1. 머리말
2. 비의 형태와 서체의 특징
2.1 비의 형태
2.2 서체의 특징
3. 신라 서예에 미친 영향
4.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