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향산삼체법(香山三體法)」 칠언절구의 구성, 내용 및 텍스트 비교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Structures, Contents and a Text Comparison of a Quatrain with Seven Words to a Line in Hyangsansamchebeop

강순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ngages in structures, contents and a text comparison of the 51 poems of a quatrain with seven words to a line, which appear in the First Cast Gapinja-Type Edition of Hyangsansamchebeop. It will explore three themes in the following order: ⅰ) the composition, selected works and writing- related matters of the Hyangsansamchebeop poems; ⅱ) the contents of the Hyangsansamchebeop poems; and a text comparison of Hyangsansamchebeop poems with Zhu Jincheng’s Bai Juyi ji jian jiao(白居 易集箋校). 51 poems of Hyangsansamchebeop were collected in Anthology of Poems by Bai Juyi(白居易文 集). Bai Juyi ji jian jiao cites that there are 15 poems from Book 13, 10 poems from Book 14, 5 poems from Book 15, 2 poems from Book 16, 3 poems from Book 18, 4 poems from Book 19, 1 poem from Book 23, 1 poem from Book 27, 1 poem from Book 34, 5 poems from Book 35, and 1 poem from Book 37. 3 poems did not appear on the Anthology of Poems by Bai Juyi(白居易文集). The poems included in Hyangsansamchebeop show us matters related to the writing of the poems such as the time, place or government post Bai was in when he wrote the works. the most works from his 30s and 40s were selected and from his writings done in Changan, Luoyang, Kangzhou, Xiagui, Zhouzhi, Zhongzhou, Hangzhou, and from Changan to Kangzhou along the way. Bai Juyi went through various government posts and wrote a lot of poems in his 30s up to 70s; he wrote a satirical poem in his 30s in Changan, Zhouzhi and Xiagui; some of the satirical and most of the quiet poem in his 40s in Changan, Kangzhou and Zhongzhou; a quiet and sentimental poem in his 50s in Changan and Hangzhou and in his 60s and 70s in Luoyang. His official life bore close relations to the writing time and place and had a great influence in the creation of the poems. The poems contain scenes of Bai Juyi’s everyday life and surroundings with 22 poems for ‘Personal relationships with others’, 9 poems for ‘Sentiments’, 7 poems for ‘Scenery’ and 3 poems for ‘songs of historical facts’. Altogether, there are 51 poems in 4 categories. A comparison done of the First Cast Gapinja-Type Edition of Hyangsansamchebeop (Model A), created around the 10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 with Zhu Jincheng’s Bai Juyi ji jian jiao (Model B)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original texts of Model A and Model B have differences in letters: there are instances of Model A and Model B having similar Chinese characters so that there are no great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instances of Model A and B having contrasting letters so that it is difficult to know the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instances where later annotations show that the letter of Model A is more correct; and instances where later annotations show that the letter of Model B is more correct. Secondly, the original texts of Model A and Model B have differences in poem’s title; the annotations of poem’s title which appear in Model B complete the 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text; A and Model B have the same titles, yet Model B sometimes has proved wrong and corrected letters for the poems in the anno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in the most fundamental studies of Bibliography, Chinese Literature, Chinese poetry which includes the study of Bai Juyi’s poetry.

한국어

본 연구는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 「향산삼체법(香山三體法)」 중 칠언절구 51수를 대상으로 하여 칠 언절구의 구성, 선집 및 저작 관련 사항, 칠언절구의 내용, 「향산삼체법(香山三體法)」 칠언절구의 텍스 트와 「백거이집전교(白居易集箋校)」의 텍스트 비교 순으로 살펴보았다. 「향산삼체법」에 수록된 백거이의 칠언절구 51수는 「백거이문집」에서 선집 되었는데, 주금성의 「백 거이집전교」를 참고하면, 권13/15수, 권14/10수, 권15/5수, 권16/2수, 권18/3수, 권19/4수, 권23/1수, 권 27/1수, 권34/1수, 권35/5수, 권37/1수이다. 3수는 「백거이문집」에 실리지 않았다. 「향산삼체법」에 수록된 백거이 시에 대한 저작 관련사항을 보면, 저작시기는 30대와 40대의 저작이 가장 많이 선집 되었고, 저작 장소는 장안이 중심이었고, 다음은 낙양, 강주, 하규, 주질, 충주, 항주, 장안-강주 도중이었다. 벼슬살이는 저작시기 및 저작장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는 30대부터 70대까 지 다양한 벼슬살이를 하면서 많은 작품을 남겼다. 그는 30대에 장안, 주질, 하규를 중심으로 풍유시를 지었고, 40대에 장안, 강주, 충주를 중심으로 일부의 풍유시와 대부분의 한적시를 지었으며, 50대는 장안 과 항주, 60대와 70대는 낙양에서 한적시와 감상시들을 지었다. 시의 내용은 백거이의 일상들이 담겨진 것으로 ‘인물교류’ 22수, ‘감회’ 19수, ‘풍광’ 7수, ‘영사(詠史)’ 3로 4개 분야의 51수이다. 중종 10년(1515)경의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인 「향산삼체법」 A본과 중국의 주금성 전교의 「백거이 집전교」 B본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본과 B본의 원문에 글자의 차이가 있는 경우를 보면, A본과 B본의 글자가 유사한 글자여서 해석상의 차이가 별로 없는 사례들이 있었고, A본과 B본의 글자가 대조적이어서 해석상의 차이를 알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으며, A본과 B본의 글자 중 문장의 전후 해석으로 보거나 후대의 주석본을 참고하면 A본의 글자가 옳은 경우, 그리고 B본의 글자 뜻이 더 적합한 경우의 사례들이 있었다. 둘째, A본과 B본의 시제목에 차이가 있거나, B본의 시 제목에 소주 (小注)가 있어서 시의 제목을 분명하게 해주는 경우가 있거나, A본과 B본의 시 제목이 같더라도 B본의 주석에 의해 잘못되거나 교정된 글자들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서지학 분야, 한문학 분야, 백거이 시를 연구하는 한시 분야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 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목차

<초록>
 
 1. 서론
 2. 「향산삼체법(香山三體法)」 칠언절구의 구성, 선집 및 저작 관련 사항
 3. 「향산삼체법(香山三體法)」 칠언절구의 내용
 4. 「향산삼체법(香山三體法)」 칠언절구와 「백거이집전교(白居易集箋校)」의 텍스트 비교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순애 Kang, Soon-Ae.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지식정보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