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전라도 임실현 <중기>에 수록된 기록자료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Archives Included ‘Account Document’ at Imsil County(任實縣) in Jeolla Provinces in the Late Joseon Period

남권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gives a bibliographical contemplation on Imsilhyeonjunggichaek which was completed at Imsil-Hyeon, Jeolla Province in 1840. Out of the related items displayed at Imsil-Hyeon, materials from books, paper, and items from buddhist temples have been analyz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book. In addition to that, the research on features of the contents and descriptive system reveals the following facts. First, through thorough understandings of written time period of Imsilhyeonjunggichaek and records of then governor of Imsilhyeon (admistrative district of Chosun dynasty), the time period of the publication turned out to be January, 1840 (20th year of Chinese Dogwang Period), right after Imsil-Hyeon Governor, Jung Gi-Cheol was newly appointed in December, 1839. Second, The book provides a generally detailed system of its description and sophisticated contents. By putting sub-categories under a bigger category, it allows readers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by respective governors clearly. Third, Imsilhyeonjunggichaek contains higher percentage of publications and ‘Hoggujangjeok(records of family register)’compared to other items. Fourth, through the analysis of Jisosaek items in Imsilhyunjunggichaek, Imsilupji, historical materials, and bibliographic records, an interconnectedness between buddhist temples in Imsil-Hyeon area and paper manufacturing industry has been found, which as a result, revealing declines of paper industry of buddhist temple by 1800’s.

한국어

이 연구는 1840년 전라도 임실현에서 작성된『任實縣重記冊』에 대하여 작성 시기를 비롯한 서지사항 그리고 형식과 기술된 내용을 살펴본 것으로 특히 서책, 제지, 사찰과 관련된 항목 중심으로 다음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임실현중기책』의 작성시기와 당시 재임했던 현감은 표지의 묵서 기록인 “道光二 十年正月”과 『任實邑先生案』을 통해서 1839년 12월에 鄭基轍이 임실현감으로 부임한 뒤 1840년(道光 20) 1월에 『임실현중기책』이 작성된 것이다. 둘째, 『임실현중기책』은 전체적으로 그 기술체재와 내용은 큰 항목으로 房 또는 色을 두고, 하위 항목에 ‘[某姓]等內備上’을 두어 현감 별로 관리했던 물품을 파악할 수 있으며 각 항목의 기술은 다시 세구분 한 뒤 상태ㆍ수량ㆍ분실 사유 등이 기술되어 있다. 셋째, 『임실현중기책』은 다른 물품에 비해 서책과 戶口帳籍에 대한 기록의 비중이 높았 다. 鄕校와 官衙에 비치된 서책을 내용별로 분류해 본 결과 향교에는 유교 경전류․역사 서․교훈서 등의 서적이 비치되어 있었고, 관아에는 법전과 형률서 그리고 법의학서 등이 갖추어져 있었다. 넷째, 『임실현중기책』의 紙所色 항목과 『임실읍지』의 公所 항목 그리고 사료와 문헌 기록을 통하여 임실의 사찰과 제지업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1800년대를 전후하여 사찰제지업이 점점 쇠퇴하고 있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任實縣의 역사와 지리적 배경
  2.1 역사와 지리
  2.2 임실현의 주요 시설
  2.3 임실현의 시설물 관련 題詠
 3. 『任實縣重記冊』의 書誌
  3.1 『任實縣重記冊』의 형태
  3.2 重記의 구성과 내용
  3.3 부임시기별 任實縣監 기록
 4. 『任實縣重記冊』의 서책과 종이 관련 항목 분석
  4.1 書冊
  4.2 文書
  4.3 製紙와 寺刹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남권희 Nam, Kwon-hee.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