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입학 특성이 다른 대학생들의 교양심리 강좌에서의 학업 성취도 및 강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직장인 대학생 중심으로

원문정보

Course Satisfaction Co-varying with Academic Achievement in the Introduction to Psychology Course Is Differentiated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ve Different Admission Conditions.

신맹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owadays, many admission officers in Korean universities or colleges are willing to recruit full-time college students who are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ir full-time occupational duties, and educate them to keep up with current rapidly-changing global socio- and educationalenvironments. These students are basically different from regular fulltime students in that they have already had plenty of professional precollegiate experience. These students are presumed to hav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from regular students in attitude, motivation, interest, ability of memory consolidation, etc. regarding academic learning, readiness and/or participation. However, most instructors teaching academic courses at college tend to utilize same or similar pedagogic strategies over both regular and occupational student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exists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AA), class satisfaction(CS) and relation between these two over college students who differ in their admission conditions. The present ANOVA on total scor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tiations in the scores among three student groups: Regular student group (RS), mixed student group consisting of regular students and students frequently engaged in their occupational training(MS) and full-time worker student group(FS). That is, th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rder of RS> MS> FS. In subsequent frequency analyses on students' course evaluation data, most students of the three groups evaluated the instructor's teaching performances positive in critical subunits of the CS: Lecture contribution, lecture communicability, lecture satisfaction, lecture material appropriacy. Consistent with the result of the AA, more students favored the instructor in the order of RS > MS > FS in each of these subunits. On the contrary, even though a few students generally evaluated the instructor negative, fewer students were observed in negative scale marks on the Likert’s Scale in the oder of RS < MS < FS on each subunit. Taken together, the CS co-varying with AA differed among the three student groups, depending on their admission conditions; in the order of FS < MS < RS. Notably, the observation that the FS is lowest in both the AA and the CS is thought to have presumably arisen from its least comprehension of the class due to several factors including lower motivation to learning or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s the instructor or the course, and insufficiency in memory consolidation presumably combined to relative lack of pre-collegiate academic readiness or time investment to the learning. The author therefore suggests that current undifferentiated pedagogic strategies over the three distinctive admission groups should be changed to differentiated ones that can reflect their different attitude, motivation, interest, etc. It is also suggested that faculty evaluators should provide incentives to instructors responsible for courses for the FS.

한국어

현사회의 주요 추세의 하나는 대학 교육 과정을 통하여 직무 경험이 있는 직업인을 전문 지식인으로 재교육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직장인 학생들은 학업과 동시에 자신의 직업적 사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학업에 여러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계획된 강의 진행방식을 이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할 경우에는 수업에 대한 이해도와 만족도가 일반학생들만큼 보장될 것인가의 질문이 대두한다. 본연구에서 는 심리학의 이해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들의 수업 이해도를 반영하는 하 나의 지표인 학업 성취도의 차이가 입학 특성에 따라서 존재하는가를 살 펴본 후에 강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에 서, 정규 입학한 학생반(정규반), 캠퍼스 통합에 의해 이전하였으며 전공 실 습이 비교적 많은 학생들로 구성된 학생반(통합반), 그리고 직장인 특별 전 형을 통하여 입학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직업적 수행을 해야 하는 학생반 (직장인반)의 순서로 학생 집단 간의 학업 성취도가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후속적으로 학업 성취도에 따른 강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빈도 분석 을 수행하였는데, 강의 기여도, 강의 전달력, 강의 만족도 그리고 강의 교 재 및 자료의 적절성 등의 각 하위 척도에서 세 학생집단들의 대부분은 교 수자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그 정도는 정규반, 통합반, 직장인반의 서 열을 보였다. 반면에, 부정적인 평가에서는 그 정도가 낮기는 하지만 직장 인반, 통합반, 정규반의 서열로서 이는 긍정적 평가 순서와는 정반대였다. 요컨대, 입학 특성이 다른 학생 집단에 따라, 즉 정규반, 통합반, 직장인반 의 순서로 학업 성취도와 강의 만족도가 낮아졌다. 학습 동기 및 태도, 의 미적 이해도, 학업에의 투자 시간 요인들과 관련하여, 직장인반이 본교양 강좌에서 학업 성취도 및 강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이유가 추정되었다. 본 논의에서는 효과적인 교수법의 일환으로서 수업 내외의 심도있는 피드백 을 통한 수업 이해력을 도모하기 위하여 적절한 강좌규모의 예와 같은 전 제 조건을 제안하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결과
 IV. 논의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맹식 Shin, Maeng-Sik. 중앙대학교 교양학부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