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특집] 대학 교양교육의 수업모형 개발 연구

글말 통합 교육을 위한 수업 방법 탐색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a Teaching Method for Writing and Speaking Integrated Education

심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ebate class is a little bit difficult part that Prof. leads university students to be participated in the class. The maximum of 60 students in case, Prof. feels much more difficult to progress debate class. It is often shown that the rest of the students does not concentrate with all that noise on the class or chats with peers except for a discussion group. Especially this kind of behavior of students shows up more than ever that they feel difficult a topic. Besides, most students think tedious to write or dislike to write. The reason why students think hard is to have not enough experience and to have burden to work out their own problems for themselves. This study inspects closely several cases of writing education at university with debate classes and presents a model of communication education. The study shows respective roles, for example writing group and evaluation group to improve participation and concentrativeness. First of all, the study proposes attention points of Prof. to be a class of a type of student participation and of a type of process-based instruction, and to be not a class only for Prof. Having a writing education after discussion class by a group, students who have stress or resistance about writing will get a chance to share various ideas to write well, and do prerequisite learning orally about logical composition process. Therefore writing and speaking need integrated education.

한국어

토론 수업은 교수자 입장에서 학생들의 참여도를 이끌어내기가 힘든 부분 이 있다. 최대 60명 안팎의 수강인원을 대상으로 한 경우는 더 더욱 그러 하다. 토론 조를 제외한 나머지 학생들은 자신들의 토론 내용을 논의하거 나 떠들거나 하는 등 토론을 진행하는 동안 집중이나 흥미를 보이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토론의 주제가 식상하거나 어려울 때는 특히 그렇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학생들은 글쓰기를 지루하게 생각하거나 글쓰기 자체를 싫어한다. 글쓰기 경험이 부족한 탓도 있지만 그보다는 글쓰기 과정 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어려움, 특히‘ 내용 생성’을‘ 혼자’ 감내하고 해 결해야 한다는 부담감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토론’ 교육과 연결시켜‘ 글쓰기’ 교육 을 수행한 사례와 토론 교육과의 관련성 제고를 통해 의사소통 교육의 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했다. 학습의 참여도와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토론 조 이외에 글쓰기 조, 평가 조 로 나눠 역할을 부여했다. 무엇보다 교수자의 강의가 아닌 학생참여형 수 업, 과정중심형 수업이 되도록 수업 과정을 모형화하고 교수자가 유의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조별 토론 수업 후 글쓰기 교육을 한다면, 글쓰기에 대한 부담감 혹은 거부 감을 갖고 있는 학생들은 토론 과정을 통해 글쓰기에 대한 아이디어를 활 성화 할 수 기회를 접할 수 있으며, 글쓰기의 논리적 구성 과정을 구두로 선행학습 할 수 있다. 따라서 글쓰기와말하기는 통합적으로 수행할 필요 가 있는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통합관점에서 본 토론과 글쓰기의 연계성
 Ⅲ. 글·말 연계를 위한 운영과 사례 : 토론을 중심으로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심지현 Sim, Ji Hyun. 대구가톨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