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읽기와 쓰기의 통합 모형 연구 ― <명저읽기와글쓰기>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Integrated Model of Reading and Writing - Focusing on <Reading masterpieces and writing>-

김연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ill try to look into effective teaching method that connects writing and reading, by referencing an example in Yeungnam Univ. aims to improve an integrated communication ski and based on liberal arts, by guiding reading of famous books and writing of critical thinking. This course will embody a discourse community that needs active participation and discussion from students. Although countless education courses teach students the right and wrong ways of writing, most students still have trouble being able to put their own words on paper. This paper will seek a solution of difficult teaching conditions that disturb learning will of writing and reading. This teaching model suggests following methods; cooperative reading based on internet, making of words-field, first writing after reading, analytical wrting with self-reflective revision.

한국어

이 글은 읽기와 쓰기의 통합교육을 지향하는 영남대학교 <명저읽기와글 쓰기> 교과목을 대상으로 읽기와 연동되는 글쓰기 교육의 효율적인 지도 방안에 대해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명저읽기와글쓰기> 교과목은 명저를 통해 대학생이 갖추 어야 할 인문학적 교양을 함양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말과 글로 표현하는 통합적 소통 능력을 향 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읽기와 쓰기의 통합교육을‘ 읽기-토론하 기-쓰기-첨삭하기’의 틀 안에서 구현하고자 한다. 그런데‘ 읽기-토론하기-쓰기-첨삭하기’의 과정에서 쓰기의 비중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축소되는 경향이 있다. 이 논 의는 한 주 3시간이라는 시간 제약과 한 학기 동안 명저 6-7권을 읽어야 하 는 어려운 조건에서 읽기와 쓰기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기본적으로, 최소 한 해야 할 쓰기 교육은 무엇인가? 하는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글은 이런 현장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읽기와 연동 되는 글쓰기 교육의 구체적인 수업 모델을 모색하였고, 그 결과 낱말밭 만 들기, 개요짜기, 사전·사후 글쓰기를 제안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기
 Ⅱ. 읽기와 쓰기가 연동되는 통합 모델
 Ⅲ.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실제
  1. 낱말밭 만들기
  2. 개요짜기
  3. 사전(事前)·사후(事後) 글쓰기
 Ⅳ. 앞으로의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연주 Kim, Yeon-Ju. 영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