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찰의 종합 체감안전도(범죄 두려움) 측정지표 개발을 위한 시론적 논의

원문정보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Indicators for the Fear of Crime

장철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motivated by the judgment that the indicators being currentlyused by the South Korean police to measure fear of crime areconfined to very unessential specific fields. The purpose of the study,accordingly, is to develop valid and reliable indicators that can helpcompensate for current weaknesses in measuring of fear of crime. To this end, a total of 13 indicators are extracted from the previousrelated studies, and then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perception ofpolicing environments, perception of fears, perception of incivilities andillegal demonstrations, and perception of police responsiveness. To test the validity of the indicators, a panel of 15 experts 11 professorsof police administration and 4 researchers at police administration-related research institutes) is organized, and then the analysisof the Delphi panel responses i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first surveyshow that two indicators in the category of perception of policingenvironments - the ‘informal control 1: community crime preventionmeetings(A-3)’, and the ‘informal control 2: encouraging community involvementin policing programs(A-4)’- prove to have unsatisfactory contentvalidity as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for each is less than0.49. The expert panel also points out that the two indicators are somewhatunspecified and therefore they are not qualified to serve as a criterionfor measuring safety sentiment. After removing those two indicators,another Delphi survey is carried out. The indicators whose convergence of the second Delphi survey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survey are found to be ‘formal control: patrolsatisfaction of police box(A-6)’, ‘specific fear(B-2)’, and ‘perception ofbasic incivility(C-1)’, implying that a certain level of consensus is achievedamong experts in the second survey.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CV) that measure the stability of the Delphi survey technique are allshown to be less than 0.5, which has made additional surveyunnecessary. The fact that the CV of the second Delphi survey is lowerthan that of the first one indicates the second survey achieves a higherlevel of stability.

한국어

본 연구는 현재 경찰에서 실시하고 있는 ‘종합 체감안전 지수 평가체계’가 대단히 지엽적이고 특정분야에 한정되 어 있다는 문제에서 연구의 단초를 얻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점에착안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종합 체감안전 지수 평가’ 체계상의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실질적인 지수를 도출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전문가 패널들로부터 총 13개의 지표를 도출하였고, 도출된 지표를카테고리화하여 4개의 영역(치안환경 인식, 두려움 인식, 무질서 및 불법시위 인식, 경찰대응인식으로 세분화하였다. 먼저, 제시된 지표가 타당한지에 대한 분석을 위해 전문가 패널(경찰행정전공 교수 11명,경찰행정 관련 연구소 연 구원 4명) 15명을 선정한 뒤 델파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차 델파이조사에서는 측정지표 중 치안환경 인식 영역의 ‘비공식적 통제 1: 지역사회 범죄예방 회의개최(A-3)’와 ‘비공식적 통제 2: 치안 프로그램 지역사회 참여 활 성화(A-4)’의 CVR 값이 .49 미만으로 분석되어 내용타당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가 패널도 이지 표는 종합 체감안전(범죄 두려움)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다소 모호하고, 체감안전 지수로평가할 수 있는 잣대기 준으로 삼기에 일정부분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여 2차 델파이분석에서는 이들 변수를 제거한 뒤 다시 분석을 실시 하였다. 2차 델파이조사에서의 수렴도 값이 1차 조사 때 보다 낮아진 측정지표로는 ‘공식적 통제:지구대 순찰활동 만족(A -6)’, ‘구체적 두려움(B-2)’, 그리고 ‘기초 무질서 인식(C-1)’인 것으로나타나 1차 조사 때 보다 패널들의 의견 합의 가 어느 정도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델파이조사 기법의 안정도를 보기 위한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값이 모두 0.5 미만으로 나타나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1차 조사결과와 비교할 때 2차 델파이조사의 변이계수 값이 낮아 1차 델파이조사보다 2차 델파이조사가 더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을 알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및 분석
 Ⅳ. 분석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철영 Jang, Cheol-Yeung. 대구외국어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