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단거리 육상선수들의 고강도 훈련 시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이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Using the Functional Taping Applied Caffeine on Fatigue Substance during High-Intensity Training in Sprint Runners

김상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basic information about functional taping applied caffeine which is to improve the fatigue and athletic performance during exercise by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functional taping applied caffeine on fatigue substance during high-intensity training. 10 mal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sprint runn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and blood lipid components such as lactic acid, LDH, and phosphorous were analyzed. First, a group who used the functional taping applied caffeine showed lower rate of increase in lactic acid than other group who didn't use taping and also lactic acid showed lower rate of increase after the training than before the training. Second, a group who used the functional taping applied caffeine showed lower rate of increase in LDH than other group who didn't use taping and LDH also showed lower rate of increase after the training than before the training. Third, a group who used the functional taping applied caffeine showed lower rate of increase in phosphorous than other group who didn't use taping and phosphorous also showed lower rate of increase after the training than before the training. With this results, a group who used functional taping applied caffeine and perform high-intensity training can be a method which it can change the lactic acid, LDH, and phosphorous in positive way to sprint runners.

한국어

본 연구는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 유․무에 따른 고강도 훈련 시 피로물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봄으로써 운동 수행시의 피로 및 경기 수행력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서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 효과에 대 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남자 대학생 육상 단거리 선수 10명을 대상으로, 피로물질인 젖산, 혈중젖산탈수소효소 (LDH), 무기인산의 3가지 혈중 성분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 핑을 적용한 그룹이 고강도 훈련그룹에 비해 젖산은 훈련 직후에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둘째,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 성 테이핑을 적용한 그룹이 고강도 훈련그룹에 비해 혈중젖산탈수소효소(LDH)는 훈련 직후에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셋째,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을 적용한 그룹이 고강도 훈련그룹에 비해 무기인산은 훈련 직후에 낮은 증가율 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육상단거리 선수들에게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을 적용한 그룹과 고강도훈련 이 피로물질인 젖산, 혈중젖산탈수소효소(LDH), 무기인산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을 확 인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방법
  2.1 연구대상
  2.2 운동방법 및 혈액채취방법
  2.3 카페인 테이핑
 3. 자료처리
 4. 결과
  4.1 젖산
  4.2 혈중젖산탈수소효소
  4.3 무기인산
 5. 논의
  5.1 젖산의 변화
  5.2 혈중젖산탈수소효소(LDH)의 변화
  5.3 무기인산의 변화
 6.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상엽 Sang-Yeob Kim. 성결대학교 체육교육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