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 phone use motivations, addiction, and self-control in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0-18, 2013. Smart phone use motivations and addi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record. Smart phone high-risk users got high-score in use motivations especially entertainment/leisure, service, and functionality, and low-score in self-control. The factors affecting smart phone addiction were record, tolerance, abstinence, difficulty of daily living, and aim for virtual world which accounted for 88.2%. Also factors affecting addiction were entertainment /leisure, flaunt/trend which accounted for 12.9%. In conclusion, smart phone use motivations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addiction, while addiction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self-control. Therefore more positive and desirable ways of smart phone use, and plans for improvement of self-control should be studied.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의 스마트폰 이용 동기와 중독, 자기 통제력의 관계를 파악하여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2013년 6월 10-18일까지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성적 하위학생 이 상위 학생보다 이용 동기와 중독(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 금단, 내성)에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자기 통제는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스마트폰의 고위험 사용자군이 오락/여가, 서비스, 기능성의 이용 동기에 높은 점수를 나타 내었고 자기 통제력(특히 즉각적 만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과 중독 하위요인 중 내성, 금단, 일상생활장애, 가상계지향과 학년 특성이 중독의 88.2%를 설명하였고 이용 동기의 하위요인 중 오락/여가와 과시/유행이 중독의 12.9%를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스마트폰 이용 동기(특히 오락/여가와 과시/유행)는 중독과 정적 상관관계를, 중독은 자기 통제력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이용을 유도하고, 자기 통제력 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 중독에 이르는 것을 예방해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및 연구 기간
2.3 연구 도구
2.4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 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학년 별 이용 동기, 자기 통제력, 중독의 차이
3.3 성별 이용 동기, 자기 통제력, 중독의 차이
3.4 성적 별 이용 동기, 자기 통제력, 중독의 차이
3.5 스마트폰 주요 사용목적 별 중독 정도
3.6 중독 수준에 따른 이용 동기, 자기통제력
3.7 일반적 특성과 이용 동기, 자기 통제력, 중독변수들간의 상관관계
3.8 중독에 영향을 주는 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ACKNOWLEDGMENT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