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의 효과를 활용한 정치캠페인의 전략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olitical Campaign Strategy applying the effect of Media Engagement

김만기, 김수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he first model to apply the concept of media engagement to a political campaign by which the voters’ mind toward the supporting political candidates, are read. Thus it provid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political campaign, and eventuall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For these objectives, the total of 729 people who have the right to vote were telephone surveyed using the peoplemeter, CATI program i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12 areas including Seoul) of Dec. 19th 2012, and Re and By-election of April 24th2013. Research question is to examine how the 5 attributes of the media engagement (interest, immersion, relevance,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play a role as the moderating variables in cross-correlation, socio-economic status and media properties. The result shows that of the five properties of media engagement, the relevant factor is the important parameter of mediating variable to the causal relationship. The media usage (TV, SNS, print media), socio-economic status (gender, age, income, marriage and area), involvement and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Re and By-election are also effective in the five attributes of media engag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 study model can measure the campaign effectiveness. This study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politics, election, media,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area as well as to promote interdisciplinary research.

한국어

본 연구는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의 개념을 적용하여 정치캠페인에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정치후보자를 지지 하는 유권자의 표심을 읽어보고자 2012년 12‧19, 18대 대통령선거(서울 외 12개 지역)와 2013년 4‧24 재보궐 선거에서 총 선거권을 가진 유권자 729명을 대상으로 피플미터 CATI프로그램을 활용한 전화조사였다. 연구문제는 미디어 인게이지 먼트 5개 속성(관심,몰입,연관,참여,만족)간 상관성과 사회경제적 차이와 매체이용 등이 이들의 5개 속성에 조절변수 (moderating variable)역할을 하는 가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의 5개 속성요인의 인과적 상관관계에서 연관성이 중요한 매개변수(mediating variable)역할의 변수라는 점이 밝혀졌다. 또한 매체(TV, SNS, 인쇄매체)이용정도와 사회경제적 지위(성별, 연령, 소득, 결혼, 직업, 지역)과 관여도, 그리고 대통령선거와 보궐선거 등이 미디어 인게이지먼 트의 5개 속성에 조절효과가 있다는 점을 추론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정치캠페인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연구모형 으로 정치, 선거, 미디어, 광고‧홍보영역 발전도모는 물론 학제간 융합연구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연구의 목적과 배경
 2.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3. 용어이해
  3.1 관심
  3.2 몰입
  3.3 연관성
  3.4 만족
  3.5 참여
 4. 연구문제 설정
 5. 연구모형과 가설
 6.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7. 분석결과
  7.1 기술통계분석
  7.2 연구모형과 가설검증
  7.3 가설검증의 추가
 8. 결론 및 시사점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만기 Man-Ki Kim. 남서울대학교 광고홍보학과
  • 김수빈 Su-Bean Kim.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광고홍보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