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日本文學】

近松の浄瑠璃における台湾への関心 - 『唐船噺今国性爺』を中心に -

원문정보

지카마쓰 조루리에 나타난 대만에 대한 관심 ―『唐船噺今国性爺』를 중심으로―

韓京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ikamatsu Monzaemon was a famous Japanese dramatist of the Jōruri style, which involved a dramatic narrative chanted to the accompaniment of a shamisen. The shamisen is traditional three stringed instrument. The Jōruri style was most prevalent among the common people in the Edo period (1603–1867). Chikamatsu wrote numerous plays based on Japanese historical tales. In his later years, he wrote several plays based on historical tales from various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Taiwan, China, and India. Although many scholars have extensively analyzed the plays that Chikamatsu wrote based on Japanese and Korean tales, few scholars have explored his plays on Taiwan. The crucial question remains of why Chikamatsu wrote plays about Taiwanese affairs. In this paper, I analyze Tosen Banashi Ima Kokusenya, or the Hero Story of Chinese military leader and the Chinese Vessels (hereafter, Hero Story), one of a few plays by Chikamatsu on the topic of Taiwanese affairs. Hero Story portrays the development of the Zhu Yigui Rebellion in 1721 in Taiwan. Herein, by analyzing this story, I focus o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how did the common people during the Edo period acquire information concerning Taiwan and what kind of information on Taiwan was conveyed to them? Second, how did Chikamatsu use the information that he was able to gather about Taiwan in composing Hero Story? Third, why did Chikamatsu choose the rebellion as a motif for Hero Story?By addressing these questions, I will illuminate fresh aspects of the dramatic works of Chikamatsu written during the final years of his life. Also, these insights will help readers to gain a significantly stronger understanding of the works of Chikamatsu.

한국어

본 논문은 에도(江戸)시대의 극작가 지카마쓰 몬자에몬(近松門左衛門)의 대만을 소재로 한 조루리를 분석한 것이다. 지카마쓰는 대만에서 일어난 주일귀(朱一貴)의 난을 『도센바나시이마코쿠센야(唐船噺今国性爺)』 로 작품화하였다. 지카마쓰가 난의 발발 후 즉시 작품화했다는 점에 주목하여 에도시대의 문헌에서 대만에 대 한 정보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었는지, 그리고 지카마쓰는 어떤 이유로 주일귀의 난을 작품화했는지 그 배경 과 의도, 특징에 대해 밝히고자 했다. 에도시대에는 18세기를 전후로 하여 세계지리서와 지도, 백화사전류 등 외국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서적들이 집중해서 성립되었다. 또한 당시 막부에서는 무역선을 통해 해외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풍설서’를 편찬 하였다. 지카마쓰는 이들 서적을 통해 얻은 대만에 대한 기초적 정보를 작품 내에서 대만을 소개하는 데에 이용하였고 , 풍설을 통해 대만의 현상을 그려내면서 금은의 해외유출문제라는 동시대 일본의 문제를 부각시키고 있었다. 『도센바나시이마코쿠센야』는 외국에 대한 관심과 막부에 대한 비판정신이 고조되던 때에 만들어진 작품이 다. 지카마쓰는 해외에서 발발한 반란에 재빨리 주목하여 극 중에서 성공한 반란으로 재현함으로써 막부에 대 한 충고를 하고 있다. 여기에 지카마쓰 만년 작품의 큰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목차

Ⅰ. はじめに
 Ⅱ. 江戸時代の文献に見られる台湾情報
 Ⅲ.近松の作品に描かれた台湾
 Ⅳ. 『唐船噺今国性爺』と朱一貴の乱 
 Ⅴ. おわりに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韓京子 한경자. 慶煕大学校 日本語学科 助教授、日本近世演劇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