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미디어 멀티태스킹과 세분화된 동기유형 연구 : 기능별 동기와 매체별 동기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Multitasking and Psychologic Motivations : Comparing Functional Motivation with Media Motivation

강미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develop the definition of media multitasking(MM), the researcher defined MM as engaging in multiple media activities simultaneously, including multiple windows on a single media platform and/or multiple media. In the context of Uses & Gratification research, the researcher studied the relationship motivations of consumers with MM behavior. This paper suggested two kinds of motivation list; functional motivations (information, entertainment, habit, and social communications) and motivations for specific media(TV, newspaper/magazine, internet, and mobile phone). Using survey data collected in Korea and USA, this study found that all kinds of functional motivations have influence on MM in Korea, but entertainment and habitual motivations are more powerful on MM in USA. Finally, through the discriminant analysis, motivation of mobile phone was verified 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MM including all countries. But also, the researcher found simultaneously detailed different phenomenon by cross cultural circumstances. So,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한국어

종래의 미디어 멀티태스킹 개념을 확장하여, 이 연구에서는 두 매체는 물론 한 매체 내에서 두 종류의 콘텐츠를 동시에 이용하는 행동으로 정의했다. 이용과 충족 관점에서 소비자의 어 떤 심리적 동기가 강할 때 미디어 멀티태스킹 행동이 활발해지는가를 탐색하는데 일차적 목 적을 두었다. 동기목록은 이용과 충족 연구에서 제시된 기능별 동기(정보, 오락, 습관, 관계 동기) 외에 매체별 이용동기(TV동기, 신문/잡지 동기, 인터넷동기, 휴대폰 동기)를 추가로 구 성했다. 복수 매체의 동시 소비라는 점을 감안하여 매체별 동기의 역할을 조망코자 한 것이 다. 한, 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미디어 멀티태스킹이 가장 활발한 매체조합은 디 지털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멀티태스킹’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모든 기능별 동기가 다양하게 편재되어 있는 반면 미국은 오락과 습관 동기가 강하게 작용했다. 매체별 동기 중 에서는 휴대폰 동기가 지배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기능별, 매체별 동기 중 유의한 변인을 종 합하여 판별분석한 결과 휴대폰 동기가 가장 설명력이 큰 변인으로 판명되었다. 다만, 한, 미 간 결과는 다소 상이해서, 문화권별 차이와 특징도 파악할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서론
 기존 문헌 검토 및 이론적 배경
  MM에 대한 기존 문헌 검토
  이론적 배경: 이용과 충족 이론 및 다면적 동기론
 연구문제 제안
 연구방법 및 응답자 특성
  연구방법
  개념의 조작적 정의
  응답자 특성 및 주요변인 기술통계
  MM 조합 선정
 연구결과
  <연구문제 1>에 대한 분석결과: 기능별 동기에따른 MM의 이용 차이
  <연구문제 1-2> 분석결과: 미국의 경우, 기능별동기에 따른 MM 이용 차이
  <연구문제 2>에 대한 분석결과: 매체별 동기에따른 MM의 이용 차이
  <연구문제 1>과 <연구문제 2>의 결과 요약
  <연구문제 3>의 분석결과: 기능별, 매체별 동기의 판별분석
  <연구문제 3-1> 분석결과: 한국의 경우 기능별,매체별 동기의 판별분석
  <연구문제 3-2> 분석결과: 미국의 경우 기능별,매체별 동기의 판별분석
 결론
  요약
  시사점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미선 Meesun Kang. 선문대학교 언론광고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