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e second half of the Hundred Years War which started with Henry V’s expedition of 1417 a large part of Normandy came under the occupation of English forces. Fortified cities and towns were systematically reduced and placed under the guard of the English garrisons. This condition of society in the middle ages meant an opportunity for soldiers to profit themselves by victimizing civilians and it was difficult and even meant tactlessness for the commander to take sanction against soldiers’ outrages. So there were always causes of friction between Norman inhabitants and the English forces of occupation. This added to break down of law and order which was a general state of affairs throughout France in this period owing to violent political dissension and anarchy. The question is what special features this disorder showed in the regions under the occupation: what is the true nature of brigands who often appear in the records as disturbers of the peace? Brigand is a word common to French and English, meaning a bandit. Both French and English historians tried to answer this question. The former asserted that brigand and other similar terms which appear in documents indicate guerrillas and partisans hiding in woods and wasteland fighting against the English. The latter refuted this argument and pointed out that brigands’ appearance in northern France was not at all limited to the years of the English occupation and that brigands were simple robbers born of the civil war. As we look up the word brigand in Frédéric Godefroy’s Dictionnaire de l’ancienne langue française, we find that in the fourteenth century it was used in the sense of a foot soldier and by the end of the century it came to mean a bandit. In the fifteenth century when the civil war in France became fiercer, it indicated an armed peasant who was forced by violence of soldiers to leave his home and became a fugitive in woods. The present author thinks that Eric Hobsbawm’s model of social bandit is applicable to brigand and later other scholars also each independently reached the same conclusion. Vincent Challet found similarity between the Norman brigand and the tuchin of Languedoc and characterized them as the local peasantry taking action of self-defence.
한국어
14117년 헨리 5세의 원정으로 시작된 백년전쟁 후반부에 노르망디의 대부분이 잉글랜드 군대의 점령 아래 들어가게 되었다. 요새화된 도시들이 체계적으로 축소되거나 잉글랜드 주둔군 아래 놓이게 되었다. 중세사회에서 이러한 상황은 병사들에게 민간인들을 희생하여 자신들의 이득을 취할 기회가 주어졌다는 것을 의미하였고 이러한 병사들의 무도함에 대해 지휘관은 어떠한 제재도 가하기 어렵거나 심지어 건드릴 수도 없다는 것을 의미했다. 따라서 노르망디 거주민들과 잉글랜드 점령군 사이에는 언제나 충돌의 요인들이 잠재해 있었다. 여기에다가 법과 명령의 파괴가 덧붙여지는데 이는 이 시기 프랑스 전역에 널리 퍼진 격렬한 정치적 분열과 무정부상태라는 일반적인 상황이었다. 문제는 점령당한 지역에서 이러한 무질서가 어떠한 양상을 보여주는가이다. 기록에 평화를 교란하는 자들로 나타나는 ‘비적’들의 진정한 본성은 무엇인가? ‘비적’은 프랑스어와 영어 모두에서 산적을 나타내는 보통명사다. 프랑스와 영국 역사가들 모두 이 질문에 대답하고자 노력했다. 프랑스 역사가들은 사료들에 나타나는 비적이나 이와 비슷한 용어들이 숲속이나 황무지에서 잉글랜드인들에 대항해 투쟁하는 게릴라나 파르티잔이라고 지적한다. 영국 역사가들은 이러한 주장을 반박하며 북부 프랑스의 ‘비적떼’ 등장은 영국 점령 시기에만 국한된 현상이 아니며 이들은 내전시기에 등장한 단순한 도적떼에 불과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프레데릭 고드프루아의 『고프랑스어 사전』에서 ‘비적’을 찾아보면 14세기에 이 용어는 ‘보병’의 의미로 사용되었고 세기 말에 ‘산적’을 의미하게 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프랑스 내전이 격화되었던 15세기에 그것은 군인들의 폭력에 의해 자신의 고향을 떠나 숲속으로 도망갈 수밖에 없었던 무장한 농민들을 지칭했다. 필자는 ‘사회적 산적’이라는 에릭 홉스봄의 모델이 ‘비적’에 적용가능하다고 생각하며 이후의 다른 학자들 또한 각자 이와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예를 들어 뱅상 샬레는 노르망디 ‘비적’과 랑그독 지역의 ‘튀생’의 유사성을 찾아냈고 이들의 성격을 자기방어를 하는 지역농민이라고 규정하였다.
목차
II. The reaction of Norman inhabitants to the English occupation
III. What sort of men were the brigands?
IV. Hobsbawm’s Social Bandit
V. The occurrence of brigandage
VI. Popular sentiment and popular sense of loyalty
VII. Social background
VIII. Conclusion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