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대 산성 내 석축집수지의 구조와 변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Changes of stony collecting basin in ancient mountain fortress

황대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writing was prepared to figure out structure, constructing processes and stagespecificchange shape appearance on stony collecting basin in ancient mountain fortress. Collecting basin was located on valley, slope or ridge and hill top in mountain fortress, thebasin on valley counts for the highest percentage(85%) of all. Characters on structure of collecting basin are classified by plan/cross section shape,floor facilities, scale etc. Anaylzed character with different structure is as follows; Squarecollecting basin is linear in cross section shape. There’re floor facilities by using untouchedground, superior rate in the 500~750cm range on the scale. Rectangular collecting basinhas straight line type & reverse-trapezoid shape in cross section shape, floor facilitiesby using untouched ground and superior rate at more than 1500cm on the scale. Circlecollecting basin has reverse-trapezoid shape & steps in cross section shape, floor facilitiesby using rammed clay earth and superior rate in the 500~750cm range on the scale. Ovalcollecting basin has straight line type & reverse-trapezoid shape in cross section shape,floor facilities by using untouched ground & using rammed clay earth and superior at the750~1000cm & 1000~1500cm range on the scale. There’re so much adjuvant archaeologicaldata we can grasp anaylzed result and constructing processes. And so the processes aredivided into 8 steps. The change process of collecting basin is explained to divide into 4 steps. The firststep, it’s time to start constructing stony collecting basin in ancient mountain fortressfrom the beginning of the 5th to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At the second stage,it’s construction structurally spread in a wide variety from the middle of the 6th to thebeginning of the 7th century. Step number three is the constructing structure that it’s circlein plan shape, steps in cross section to range focuse on the Southern coast from the middleof the 7th to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And fourth and last stage, the construction wasrapidly slumping from the latter of the 8th to the middle of the 9th century. The changeprocess of collecting basin is as follows; The square is first, followed by the rectangle, thecircle and the rectangle in plan shape, the linear type is followed by followed, steps andreverse-trapezoid type in cross section. And it’s confirmed changing proportion of followingthe using untouched ground(bed rock), the using untouched ground(bed rock), the settingof flagged floor and the ramming clay earth in floor facilities. Meanwhile, step distribution aspect of the basin is distributed over focusing on the Central district in the 1st step, beingdivided into the Central and Southern district in the 2nd step and focusing on the Southerncoast in the 3rd step. It’s sure that the last 4th step is spread to Southern district.

한국어

이 글은 고대 산성 내 석축집수지의 구조와 축조공정, 단계별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집수 지는 산성 내에서 계곡, 구릉 사면 또는 능선, 구릉 정상에위치하며, 계곡에 입지하는 집수지가 전체에서 가 장 높은 85%의 비율을 차지한다. 집수지 구조에 있어서 속성은 평면형태, 단면형태, 바닥시설, 규모 등으로 분류된다. 분석된 구조별 특징은 방형 집수지는 단면형태-직선형, 바닥시설-생토면 이용,규모-500~750cm에서 우세한 비율을 보인다. 장방 형 집수지는 단면형태-직선형,바닥시설-생토면 이용, 규모-1500cm이상에서 우세한 비율을 보인다. 원형 집수지는 단면형태-사선형과 계단형, 바닥시설-점토 다짐, 규모-500~750cm에서 우세한 비율을 보인다. 타 원형 집수지는 단면형태-직선형과 사선형, 바닥시설-생토면 이용과 점토 다짐, 규모-750~1000cm와 1000~1500cm에서 우세한 비율을 보인다. 또한 분석된 결과와 축조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양호한 발굴자료 를 통하여 축조공정은 총 8단계로 구분된다. 집수지의 변천과정은 크게 4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1단계는 산성 내에서석축집수지가 축조되기 시작하는 시기이며, 5세기 전반~6세기 전반에 해당한다. 2단계는 석축집수지의 축조가 구조적으로 다양하 고 넓게 확산되는 시기이며, 6세기 중반~7세기 전반에 해당한다. 3단계는 석축집수지의 평면형태-원형, 단 면형태-계단형으로 축조되는 구조가 남해안지역에 집중 분포하는 시기이며, 7세 중반~8세기 중반에해당한 다. 4단계는 석축집수지의 축조가 급격히 줄어드는 시기이며, 8세기 후반~9세기 중반에 해당한다. 변천과 정을 통해 집수지의 평면형태는 방형→장방형→원형→장방형, 단면형태는 직선형→직선형→계단형→사선 형, 바닥시설은 생토면(기반암) 이용→생토면(기반암) 이용→판석 설치→점토 다짐으로의 비율 변화를 확 인할 수 있다. 한편단계별 집수지가 분포하는 양상은 1단계는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밀집 분포하며, 2단계는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으로 양분되어 나타난다. 3단계는 남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밀집분포하는 특징을 보인다. 4단계는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집수지의 현황과 사례
  1. 용어검토와 연구현황
  2. 조사사례
 Ⅲ. 석축집수지 구조와 축조공정
  1. 구조분석
  2. 구조적 특징
  3. 축조공정
 Ⅳ. 석축집수지 변천과정
  1. 집수지의 편년
  2. 단계설정 및 변천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대일 Hwang, Dae-Il. (재)울산문화재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