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일본 不動院 소장 고려 <萬五千佛圖>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Painting of Fifteen Thousand Buddhas of Goryeo Dynasty in Fudouin of Japan

일본 불동원 소장 고려 <만오천불도> 연구

류상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ainting of Fifteen Thousand Buddhas(萬五千佛圖) of Goryeo Dynastyin Fuddouin of Japan is colored on the silk(W:175.9cm H:87.1cm), and it isclassified as a picture and a painted mounting of picture. On the top of thepicture, "大平(Daepyeong)" is written and on the below, Buddha is perched inthe middle of large halo. There is a head halo behind the Buddha, and hewears a red top(朱色大衣) and a white cloth(白衣) patterned circles, and sitsfor holding a right leg with both hands and looking back with upside. Especially, all parts of the cloth of Buddha is depicted incarnates of Buddha(化佛) and Bodhisattva(菩薩形 化佛 ) style by lines and gold and ink stick. On thetop of the painted mounting of picture, "萬五千佛(Manocheonbul)" is writtenby red color, and on the below, a lot of group of buddha and bodhisattva. The middle of the below, "二佛竝坐像(Ibulbeongjwasang)" of the Shakyamuniand Prabhutaratna in the pagoda of Prabhutaratna from The Lotus Sutra(法華經) is depicted. And from side to side, the sixteen of incarnate group ofBuddha and Bodhisattva style are expressed with a name tag. Meanwhile, there is a opinion that the Buddha of this painting is VairochanaBuddha. However, according to hair, knot, jewelry, cloth, large halo, moon,long sash, sitting position, and incarnate on the crown of buddha, his identityis judged a Avalokitesvara(觀音菩薩). Moreover, there are the various religiouselements mixed in The Painting of Fifteen Thousand Buddhas. The first, thesmall fifteen-thousand-incarnates on the Buddha and his surroundings and thepatterns on the painted mounting of picture symbolizes a world of Avatamsaka(華嚴). The second, the sitting position of the Avalokitesvara whichis the motif in the icon of the Disciples and Arhats is the element of theDhyana(禪宗). The third, the pagoda of Prabhutaratna is the element of theSaddharmapundarika( 法華). And from side to side, the sixteen of incarnategroup of Buddha and Bodhisattva are the icons from the scriptures andcoordination of the Esoteric Buddhism. Therefore, The Painting of FifteenThousand Buddhas is interpreted as the painting combined the variousreligious elements of the Avatamsaka, the Saddharmapundarika, the EsotericBuddhism, and the Dhyana. About style of painting, according to face, features, hair line of brow, falbalaof cloth, and so forth of the Avalokitesvara, this painting is similar the Paintingof Arhats in 1235~1236 more than the other in the late of the 13th century. Also, through the incarnate of the crown, small incarnates of Buddha andBodhisattva style, and the pagoda of Prabhutaratna, the time of production ispresumed earlier than the late of the 13th Century. There are somecharacteristics in the coloring. The first, white color is used. the using thiscolor for the middle class of light pigment is utilized by X-ray and repair reportof the Painting. This skill is used in the The illustration of Maitreyavyakarana-Sutra in 1294 own Myomanji of Japan as well. The second, thecoloring of the white circle is the triple coloring by orange, white, and gold. This coloring style is utilized by the painting of South Song. The sitting position and the long sash of Avalokitesvara in the Painting ofFifteen Thousand Buddhas are influenced by Self-existent Avalokiteshvara(自在觀音菩薩) and Long Sash Avalokiteshvara(長帶觀音菩薩) created by Li,Gong-lin(李公麟) in North Song. Therefore,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Painting of Fifteen Thousand Buddhas is considered from the first half of the12th to the late of the 13th Century. In conclusion, The Painting of Fifteen Thousand Buddhas is such as aBuddhist icon assembly among the Buddhist Paintings of Goryeo. Also, itsmain bodhisattva is Avalokitesvara of Avatamsaka line which is different form among Water-moon Avalokitesvara, and especially, the painted mounting ofpicture is depicted in the earlier than other Buddhist Paintings of Goryeo.

한국어

일본 不動院 소장 고려 <萬五千佛圖>는 세로 175.9cm 가로 87.1cm 크기의 비단에 채색을 베푼 불화이다. 바탕비 단은 크게 화면과 그림장황 부분으로 구분된다. 화면 상단에는 ‘大平’이라는 글자를 적었고, 그 아래 중앙에 두광을 갖춘 본존이 원문이 그려진 주색대의와 백의를 입고, 오른쪽 다리를 양손으로 감싸 안은 자세로 뒤를 올려다 보며 大圓光 안에 앉아 있다. 본존의 법의에는 불보살형의 化佛이 금니과 먹으로 가득 시문되어 있다. 그림장황 부분의 상단부에는 ‘萬五千佛’이라는 주색의 글자가 적혀 있다. 하단부에는 『法華經』 「見寶塔品」에 나오는 多寶塔을 중 심으로 좌우에 방제가 있는 총 16무리의 불보살군이 그려져 있다. 기존에 이 작품의 본존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비로자나불로 보았다. 그러나 본존의 보발 및 보발매듭과 장신구를 비 롯한 복식, 대원상, 달(月), 장대, 자세와 함께 기존에 확인된 보관의 화불 등의 도상 분석을 통해 본존을 觀音菩薩 의 이미지로 판단하였다. 아울러 이 <만오천불도>에는 다양한 사상적 요소가 융합되어 있다. 첫째, 본존과 그 주변 에 가득찬 만오천의 化佛을 비롯한 그림장황의 바탕을장엄하고 있는 佛卍字連續文과 如來圓文에서 화엄적 요소가 확인된다. 둘째, 본존의 자세는 주로 나한상에 보이는 모티프로서 이는 선종의 요소이다. 셋째, 그림장황 하단에 표 현된 다보탑은 법화 요소이며, 좌우에 배치된 불보살군은 밀교와관련된 경전·의궤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 만오천불도>는 화엄을 바탕으로 법화·밀교·선종 등의 신앙적 요소가 중층적으로 겹친 불화로 해석하였다. 화풍을 살펴보면 본존의 얼굴 윤곽선을 비롯한 이목구비와 발제선, 대의와 백의의 의습선 등의 비교를 통해 채색불 화 중 시기가 가장 이른 日本銀行 소장 <아미타독존도>(1286년)보다는 개인 소장 <십육나한도(第七迦理迦尊者)> (1236년)와의 친연성이 있다. 또한 보관의 화불을 비롯한 불보살형의 화불, 그리고 하단의다보탑 도상의 양식 분석 을 통해 제작시기를 13세기 전반에서 후반으로 추정하였다. 채색에서는 일반적인 기법과 다른 특징이 확인된다. 첫 째, 백색안료를 활용해옅은 중간의 색채를 운용한 점이 X-ray 촬영과 수리보고서를 통해 파악되었고, 더불어 일본 妙滿寺 소장 <미륵하생경변상도>(1294년)를 통해 13세기에 이같은 기법의 사용이 확인되었다. 둘째, 백의의 백색 원문의 채색법을 살펴보면, 기존의 이중채색이 아닌 단(丹)색. 백색, 금니 순으로 삼중채색을 하였다. 이는 남송불 화에서 확인되며, 이같은 설채법은 늦어도 13세기 이전에는 수용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만오천불도>의 화풍상 제작시기는 13세기 전반경으로 추정된다. 한편, <만오천불도> 본존의 자세와 착 의법을 살펴보면, 본존이 취한 자유자재한 자세와 몸에 걸친 긴 띠는 11세기 후반에 활약한 북송대 李公麟의 自在· 長帶觀音像의 영향으로 보인다. 이는 송대의 『畵品』 및 『畵繼』 와 함께 北京 故宮博物院소장 傳 이공린筆 <유 마연교도>를 통해 확인된다. 그러므로 <만오천불도>의 제작시기는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전반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 <만오천불도>는 다양한 신앙을 함축한 도상들이 융합되면서 탄생한 고려시대 불화의 도상 총체집 같은 작품 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현존하는 고려시대의 보타락가산을 배경으로 한 수월관음상 보다 앞선 시기에 출현한 화엄계 관음보살상이며, 특히 현존하는 고려불화 중에서는 가장 이른 시기에 그림장황이표현 되었다는 점에서도 매우 주목할 만한 불화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작품 개요
 Ⅲ. 도상의 중층적 요소
  1. 본존
  2. 그림장황
 Ⅳ. 화풍과 제작시기
  1. 화풍
  2. 자세와 착의법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류상수 Yoo Sangsoo. 동아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