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석굴암 십일면관음의 교학적 해석

원문정보

The Eleven-Headed Avalokitesvara in the Seokguram Grotto: the Perspective of Huayan

이경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ses the pictorial image of the Eleven-Headed Avalokitesvarain the Seokguram Grotto. This study further investigates the meaning of theEleven-Headed Avalokitesvara. It is a piece of statue with 11 faces on thehead. It is located behind the main Buddha statue, which would be the mostsignificant place in the Seokguram Grotto. The shape of the 11 faces Bodhisattva is considered to be originated fromthe 11 Rudras of ancient India (the Vedic period). In the point of Buddhist, thenumber 11 in the 11 faces Bodhisattva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 of “10directions”. The number 10 symbolizes all directions and is considered as theperfect number. According to Buddhist scriptures and their interpretations, the11 faces Bodhisattva has in fact 12 faces (the true face together with 11 faces toall directions). The ultimate stage of Bodhisattva practice is represented by thetop Buddha face (having the 10 Grounds of Bodhisattva way to theBuddhahood, achieving ‘unsurpassed enlightenment and equanimity’ (theperfectly enlightened One). ‘Things’ held by the Eleven-Headed Avalokitesvara are a string of beads onthe right hand and a Kundika on the left hand. These ‘things’ indicateBodhisattva practice and its different stages. The Eleven-Headed Avalokitesvarawas widespread during the Tang dynasty, China, due to the support fromEmperor Gaozong of Tang and Empress Wu for Esoteric Buddhism andactivities by Fazang (643–712), the third patriarchs of the Huayan school. The11 faces Bodhisattva was perceived as a symbol of defending the fatherland against enemies. Furthermore, the 11 faces Bodhisattva was the main Buddha(replaceable of Virochana Buddha) forming one of three saints along withManjushri Bodhisattva and Samantabhadra. Hence, the 11 faces Bodhisattvaincorporated the view of the Huayan school and Protocols of EsotericBuddhism. In the Huayan school Fazang and Uisang (625-702) shared their utopianideology that the world could be prosperous under Buddhism. Theircommunication influenced the Buddhist community of the 8th century Silla. Fazang used the symbolic function of a guardian deity associated with the 11faces Bodhisattva in order to harmonize (or integrate) the ideal Huayan worldwith the religion in reality. Likewise, the Eleven-Headed Avalokitesvara in theSeokguram Grotto was associated with the harmony between the real worldand Huayan world, representing Bodhisattva, the defence of the fatherland,and the enlightenment of Virochana Buddha. *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35C-2011-2-G00047].

한국어

이 연구는 교학적 배경을 통해 십일면관음의 도상을 분석하고, 십일면관음이라는 본질이 특수한 신라 석굴암에서 차지하고 있는 의미를 역사 속에서 찾고자하였다. 십일면관음은 3면3방 10개의 보살면(菩薩面)과 최상부 1개의 불 면(佛面)으로 이루어진 11개의 얼굴을 가진 하나의 상이다. 십일면관음은 석굴암에서 가장 중요한 자리인 주존(主 尊)의 바로 뒤 그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다. 십일면관음의 형태는 인도 고대 베다시대의 십일루드라에서 발화되었다고 본다. 불교 세계관에서 십일면관음의 11 의 상징은 시방(十方)의 개념과 분리될 수없다. 10은 모든 방위의 상징수(all direction)이자 중중무진의 완전수(perfectnumber)이다. 경전과 해석에 따르면 십일면관음은 방편면 11면과 진실면 1면으로 이루어진 실제 12 면이다. 보살수행의 마지막 단계인 10지(地)를 모두 갖춤으로써 제11지 등각(等覺)을 증득했음을 나타내고, 최상부 불면은 깨달음을 뜻하는보살도(菩薩道) 수행의 귀결점이다. 석굴암 십일면관음의 지물은 오른손의 염주(念珠)와 왼손의 미개(未開), 반개(半開), 만개(滿開) 연꽃이 있는 정병 이다. 이 지물은 보살도의 수행과 단계를 나타낸다. 중국 당대 십일면관음은 고종황제와 측천무후 시기 밀교에 대 한 지원과화엄 3조 법장(法藏, 643~712)의 활동으로 성행하였다. 십일면관음은 전륜왕을수호하고 국가의 어려움 을 없애는 호국법력으로 믿어졌다. 나아가 십일면관음은비로자나불을 대체하는 주존이며 보현, 문수와 더불어 화 엄삼성(華嚴三聖)을 이루었다. 십일면관음이 화엄삼성을 흡수하였음은 화엄관법과 밀교의궤가 융합한것이다. 의상(625~702)과 법장은 이 세계가 불교아래 번성하기를 바라는 유토피아적사상을 공유하였다. 그들의 사상적 교 류는 8세기 신라 불교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 현실의 종교는 국가를 전제로 한다. 법장이 십일면관음의 수호신적 기능을이용하여 화엄세계와 현실종교가 융합된 세계를 지향하였듯이, 석굴암 십일면관음은 현실세계와 화엄불교 세계와의 조화를 이룬다. 석굴암 본존 뒤의 십일면관음은 입구 동편의 보현보살을 좌협시로, 서편의 문수보살을 우 협시로 하여 화엄삼성을 이룬다. 결국 석굴암 십일면관음은 보살도의 상징, 호국의 기능 그리고 비로자나의 깨달음 을 함축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십일면관음의 도상기원과 관련경전
  1. 형태기원과 11면의 상징
  2. 관련경전과 주해본
 Ⅲ. 석굴암 십일면관음 형태분석과 중국 당대십일면관음
  1. 석굴암 십일면관음의 형태분석
  2. 중국 당대 십일면관음과 법장
 Ⅳ. 석굴암 십일면관음의 조성배경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경화 Kyunghwa Lee. 문화재청 문화재감정관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