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甘山寺 彌勒菩薩立像 硏究 - 着衣 表現을 中心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aitreya Bodhisattva from Kamsan Temple

감산사 미륵보살입상 연구 - 착의 표현을 중심으로

소현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anding stone Maitreya Bodhisattva from Kamsan Temple wasconstructed in 719 A.D by a sixth ranking aristocrat Kim Jeesung of the UnifiedSilla Dynasty. This statue display strong foreign influence and have new motifsand characteristic forms that differ from eighth century Tang Buddhistsculptures and other Silla Buddhist sculptures. By looking at these specificdetails, this thesis discusses their origins and propagation process to Silla. Andalso discusses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its characteristicforms. The shoulder decoration, the extended cloth, the large knot in the scarfupon the chest(絡腋) and the U- shaped fold in the lower scarf of the MaitreyaBodhisattva, are all new forms, that rarely appear in the contemporaryBuddhist sculptures of East Asia. The most conspicuous characteristic of theMaitreya from Kamsan Temple lies in its shoulder decoration and the largeknot in the scarf upon the chest. The shoulder decoration which seems to havetravelled from Bamiyan to Khotan located in the southern route of the WesternRegions, eventually arriving in Tang China. The large knot in the scarf uponthe chest also is a characteristic of the Kizil Caves in the northern route of theWestern Regions. And the U-shaped fold in the lower scarf also is presumed toconnected with Western Regions. In short, three details and forms are all originated from Western Regions,and were very popularized in the Dunhuang Mogao Grottos from the latterpart of the eighth century. But It is impossible to presume that these characteristicsare directly came to Silla from Dunhuang, because the appearance of these characteristics in Silla occurred earlier than Dunhuang in China. So we canguess that the introduction of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the Maitreyafrom Kamsan Temple came from central area of Tang Dynasty. This fact showsthat the acceptance of Tang culture in Silla had been very quickly. In theprocess of the acceptance of Tang culture, the envoys to the Tang Dynastyplay important roles. Kim Jeesung who made the standing stone MaitreyaBodhisattva, as the envoy of Silla had been dispatched to the Tang Dynasty in705.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e characteristic forms of MaitreyaBodhisattva in Kamsan Temple reflect the international characteristic of Sillaculture.

한국어

국보 82호 감산사 석조 미륵보살입상은 국보 81호인 同寺 아미타여래입상과 함께 719년 신라 육두품 귀족인 金志 誠이 조성하였다. 이 상은 제작 연대와 발원자가 분명하고, 또 화불을 표현한 미륵보살입상으로서 동아시아 불교미 술사상 매우중요한 조각이다. 감산사 미륵보살입상은 당대 인도양식의 유행을 잘 반영한 상이다. 그런데 인도풍과는 별개로 동시기 동아시아 불 교 조상에서 보기 드문 새로운 모티프와 착의 표현이 출현한다. 즉 어깨 위의 커다란 매듭과 여기서 팔꿈치까지 떨 어지는 넓은 끈, 絡腋 위의 커다란 매듭, 천의 밑단의 주름 처리 등이다. 상술한 모티프와착의의 표현은 현존하는 불교 조상에서도 그 사례를 찾기 어렵고, 상술한 세 가지요소를 모두 갖춘 조각 또한 현재로서는 감산사 미륵보살 입상 이외에는 없다. 본고는 이것들이 무엇을 표현한 것이며, 어디에서 연원하는지, 그리고 그것들이 신라에 이르 는 東傳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상술한 모티프와 착의 표현이 미륵보살입상에 표현된 배경을 발원자의 사회 문화적 배경과 관련해 살펴보았다 . 미륵보살입상의 양 어깨 위에 크게 표현된 매듭과 여기서 팔꿈치까지 떨어지는 넓은 끈은 원형이 아닌 긴 줄 형태 의 목걸이를 등 뒤에서 묶었을 때 표현되는매듭과 거기서 내려오는 두 줄로 추정된다. 이런 형태는 바미얀에서 처 음 나타난후 서역남로를 거쳐 당대 장안 등지에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낙액을 가슴위로 걸친 뒤 어깨 근처 에서 커다란 매듭장식으로 처리하는 것 역시 서역, 특히북로에 위치한 키질석굴 벽화에서 매우 유행한 형식이다. 한편 천의 밑단을 평행하는 U자형 주름으로 처리하는 방식은 중국적인 ‘吳帶當風’으로 표현되는 오도자화풍의 옷 주름 처리와는 다르며 돈황에서도 서역남로에 위치한 호탄의 영향력이확대되는 8세기 후기 이후에 빈번하게 출현 하고 있어 서역과의 관련성을 추정케한다. 감산사 미륵보살입상의 상술한 세 특징은 현존하는 불교 조상이나 회화와 비교할 때 돈황과의 연관성이 강한데, 그 렇다고 돈황에서 직접 신라로 전래된 것으로 보긴 어렵다. 왜냐하면 감산사 미륵보살상이 돈황의 사례들보다 시기 적으로앞서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특징들은 당대 장안과 낙양 등의 중앙으로부터 신라나 돈황으로 전래되 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한편, 감산사 미륵보살상의 상술한 특징들이 중국 변방인 돈황보다 더 이른 시기 에 출현하는 것은 발원자 김지성이 705년 견당사로서 당에 다녀온 것과 유관할것이다. 당시 신라의 견당사는 정치, 외교는 물론 문화 수입에도 큰 역할을 했는데, 특히 불교 경전의 수입에서 보듯 당의 불교문화를 실시간적으로 수 입해왔다. 때문에 감산사 미륵보살상은 7세기 말 8세기 초 서역풍이 농후한 당대 중앙의 불교미술의 한 양상을 보여주는 조각 으로서도 의의가 큰 작품이라 하겠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감산사 미륵보살상의 양식과 형식-착의 표현을 중심으로
  1. 매듭 형태의 어깨장식과 垂飾
  2. 絡腋의 매듭 처리
  3. 天衣 밑단과 裙衣의 표현
 Ⅲ. 발원자 김지성과 당대 중앙양식의 수용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소현숙 So Hyunsook. 원광대 역사교육과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