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中國 唐代 藥師如來像에 대한 硏究 – 四川地域을 中心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Bhaiṣajyaguru-vaidūrya statues of T‘ang Dynasty in China - With a Focus on Sìchuān Area

중국 당대 약사여래상에 대한 연구 – 사천지역을 중심으로

김은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verse Buddhist sculpture foundin the Sìchuān area, and examine how they were understood. Details are asfollows: Upon examining the Bhaiṣajyaguru-vaidurya faith focusing on theBhaiṣajyaguru-vaidūrya statues in the Sìchuān area, four characteristics werefound. First, the Bhaiṣajyaguru-vaidūrya statues in the Sìchuān area were usuallynot alone, but in two with Bhaiṣajyaguru and Śākyamuni called a CoupleBuddhist Statue, three with Bhaiṣajyaguru, Kṣitigarbha and Avalokiteśvaracalled Triad Buddhist Statue, or in other groups called Three World Buddhas,Three Sides Buddha or Bhaiṣajyaguru-sūtra bianxiang. Secondly, the statues, which has mani as a holding, are identified asŚākyamuni in the Sìchuān Among the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with theBhaiṣajyaguru statue, the circular utensils are suspected to represent a medicalbowl.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ower of faith from the perspective of strongaspiration for rescue from the hell by believers in Bhaiṣajyaguru-vaidurya notonly included continued life following death, but also passage to the nextworld to the Western Paradise.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Kṣitigarbha,which has a complex character of salvation from death and in Inro Bodhisattva,was related to the power of religion of Bhaiṣajyaguru-vaidurya. The formation of Bhaiṣajyaguru and Avalokiteśvara, or Bhaiṣajyaguru,Kṣitigarbha and Avalokiteśvara should not be viewed to have been made upsimply due to the effects of Amitabha, Avalokiteśvara and Kṣitigarbha, but that the various powers of Avalokiteśvara and Kṣitigarbha all had relationshipswith the powers of Bhaiṣajyaguru, which supplemented and reinforced thepowers.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Bhaiṣajyaguru bianxiang in the Sìchuān areafound in literary records existed not in the form of Bhaiṣajyaguru paradisebianxiang, but in the form of Bhaiṣajyaguru-sūtra bianxiang. The various modes of the Bhaiṣajyaguru statue appears to be the result ofdeveloping the Bhaiṣajyaguru- vaidurya faith in a format different from theBuddhist trends that formed education and scholarship or non-Zen Buddhism. It is presumed that this because it reflected the anticipation of the people forgood deeds, or in other words, the religious functions. This does not havemany records and so it is judged that it shows part of the peasant Buddhismthat is difficult to identify. This paper did not examine Bhaiṣajyaguru-vaidurya faith from the aspect ofsalvation in the current world by combining various religious and sects ofEsoteric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Such discussions includingcomparative reviews of Bhaiṣajyaguru in the Unified Silla Kingdom shall be leftfor future studies.

한국어

동방유리광정토세계(東方瑠璃光淨土世界)의 교주인 약사유리광여래(藥師瑠璃光如來)는 모든 중생의 질병을 치료 하고 재앙을 소멸시키며, 부처의 원만행(圓滿行)을 닦는 이로 하여금 무상보리(無上菩提)의 묘과(妙果)를 증득하게 하는 부처이다. 『약사경(藥師經)』을 사십구번 독송하고 사십구등(四十九燈)을 밝히면 병자의 의식을 회복시키거 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현세구복적 성격이 강한 약사신앙은 당대(唐代) 이후 크게 유행하여 이에 따른 약사여 래상의 조성도 증가한다. 본고에서는 사천지역의 약사여래상을 중심으로 약사신앙을 살펴 본 결과 네가지의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사 천지역에서 제작된 약사여래상은 단독상 보다 약사와 석가의 이존상, 약사·지장·관음의 삼존상, 삼세불, 사방불, 약 사경변(藥師經變) 등과 같이 다른 존상(尊像)과 함께 구성된 상이 많이 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천지역에서 보주(寶珠)를 지물로 가지고 있는 여래상은석가로서 제작되는 전통이 강하며, 약사여래상이라는 제기 가 확인되거나 추정되는 여래상의 지물 중 구형의 지물은 발형(鉢形)의 약기(藥器)를 의미한다고 보았다. 또한 약 사여래상의 지물은 불공의『약사여래염송의궤』가 한역되기 이전에이미 표현되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셋째, 신앙자들이 약사여래에게기대하였던 내세구제적인 측면의 위신력에는 명부구제(冥府救濟) 이후의 속명( 續命) 뿐만 아니라 서방정토로의 왕생도 포함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또한명부구제와 인로보살(引路菩薩)로 서의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지장보살이 약사여래상의 위신력과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약사· 관음 또는 약사·지장, 약사·지장·관음상이라는 구성형식은 단순히 아미타·관음·지장보살의 영향을 받아 조성되었 다고 보기 보다는 관음·지장보살상이 가지는 다양한위신력이 모두 약사여래의 위신력과 관련성을 가지면서 이를 보완 또는 강화하는역할을 하였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문헌기록에서 확인되는 사천지역의 약사변(藥師變)은 약 사정토변(藥師淨土變)의 형태가 아닌 약사경변(藥師經變)의 형태로존재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천지역 약사여래상의 다양한 양상은 교학(敎學)이나 교종(敎宗)을 형성해 나가던 불교의 흐름과는 다른 형태로 약사신앙을 발전시킨 결과로 보이며, 조상(造像)으로 인한 공덕 즉, 종교적 기능에 대한 민중들의 기대감이 반영되 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는 기록이 잘 남아 있지 않아 실체를 파악하기 어려운 민중불교의일부분을 보여주는 것 으로 판단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藥師如來像의 諸相
 Ⅲ. 藥師如來像의 持物
 Ⅳ. 藥師如來像의 來世救濟的 側面
  1. 冥府救濟를 통한 續命
  2. 西方淨土로의 往生
 Ⅴ. 四川地域의 藥師(經)變
 Ⅵ.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은아 Kim Eun-ah. 충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