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장애인 근로능력평가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국민연금장애연금수급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Job Functional Assessment Scal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신현욱, 강병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Job Functional Assessment Scale. This study was involved took third steps. First, 93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oretical literature an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Model.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3 rehabilitation experts rated those items. Second, the scale consisting of 73 items was administered to sample of 880 people with disabilities. Finally, items of the scale were reduced to 58 items. Factor analysis showed evidence of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of total score showed .94 and Cronbach's αof 7 subfactor demonstrated .74∼.90. Thus, Job Functional Assessment Scale demonstrated satisfactor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In addition, the practical use of the scale was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소득보장정책을 포함한 장애인 고용정책으로 전환하기 위한 필수요건인 근로능 력평가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현행 체계는 장애연금이 의학적 기준에 의해 신체상의 장애상태를 평가하고 있어 근로능력에 대한 강한 예측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선행연구, 국·내외의 근로능력평가 척 도,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 모델의 결과를 토대로 전국 880명의 장애연금 장애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요인분석 한 결과 최종적으로 7요인 58문항의 척도를 개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적합도 지수를 구한 결과 촉도의 개념 구성 타당도가 검증되었다.개발된 척도의 신뢰도 검증에서 척도 전체의 Cronbach's α계수가 .94이 고 7개요인 각각의 신뢰도는 .74∼.90이다. 향후 근로능력평가 척도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척도를 표준화하는 방안, 각 평가에 대한 세부 지침, 다수에 의한 평가 체계 운영 방안의 추후 연구 과제를 제 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장애연금 현황 및 쟁점
  2.2 근로능력평가의 개념과 유형
 3. 연구방법
  3.1 연구내용 및 방법
  3.2 분석방법
 4. 연구결과
  4.1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2 항목선별과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4.3 타당도 검증
  4.4 최종문항선택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신현욱 Hyun-Uk Shin. 전주대학교 재활학과
  • 강병노 Byeongro Kang.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