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교침입 취약지점 분석을 위한 감시취약 침입경로도 적용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owest Natural Surveillance Path Measure To Weak School Intrusion Spot Analysis

권지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cent social attention to school crime requires strategic planning for school facilities. Natural surveillance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CPTED(Crime Prevention Though Environmental Design) strategies. The precedent methodological studies on natural surveillance for facility security have considered environmental features as the main spatial factors, hence usage conditions of each component space have not been parts of the research approaches. The potential of natural surveillance is affected by facility operation as well as spatial configurati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an analytical method on weak school intrusion spot with considering lowest natural surveillance measure derived from occupancy rate and spatial visibilit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Firstly, the natural surveillance activities occurred on school facility are conducted by facility users including students, teachers and staffs. User’s supervising toward visually unblocked space is essential for natural surveillance. The two factors have to be considered for the development process. Secondly, occupancy rate can represent the operating frequency of each component space. Thirdly, the visually open feature of space can be quantified into spatial visibility. Fourthly, occupancy rate and spatial visibility can measure the lowest natural surveillance path. Finally, weak surveillant intrusion path measure derived from the lowest natural surveillance path measure supports determining the areas vulnerable from criminal’s intrusion at a school facility.

한국어

학교범죄 대한 최근의 사회적 관심은 학교시설의 전략적 계획을 요구한다. 자연적 감시는 환경설계를 통한 범 죄예방(CPTED)의 주요 전략들 중 하나로 고려되어왔다. 시설안전을 위한 자연적 감시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환경적 특성을 주요 공간적 요소로 고려하고 있어 개별 요소 공간의 이용상태는 연구적 접근의 일부로 포함되 지 않고 있다. 자연적 감시의 가능성은 공간의 구성과 함께 시설의 운용에도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재실률과 공간의 가시성로부터 도출된 최저감시 경로거리를 고려하여 학교침입 취약지점에 대한 분석기법을 제시 및 적용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시설에서 발생하는 자연 적 감시활동은 학생, 교사, 직원을 포함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다. 시각적으로 개방된 공간에 대한 이용자의 감시활동은 자연적 감시에 필수적이다. 이 두 가지 요소는 분석기법의 개발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재실률은 개별 요소공간의 사용빈도를 제시한다. 셋째, 공간의 시각적 개방성은 공간의 가시도로 정량화될 수 있다. 넷째, 재실률과 공간의 가시성은 최저감시 경로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최저감시 경로거리 로부터 도출된 감시취약 침입경로도는 학교시설에서 범죄자의 침입이 용이한 영역을 판별하도록 지원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절차와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범죄행위에 대한 자연적 감시
  2.2 환경적 특성으로의 가시성
  2.3 이용자 재실과 범죄자 침입 경로 네트워크
  2.4 이론적 구현방향 설정
 3. 분석기법의 제시와 적용
  3.1 재실률 분석방법
  3.2 시선거리 가중 가시도 분석방법
  3.3 최저감시 경로거리의 분석방법
  3.4 분석기법의 적용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권지훈 Kwon, Jihoon. 계명대학교 건축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