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고대도성계획에서 宗廟ㆍ社稷의 배치와 그 의미 - 商代에서 秦代까지 : 종묘ㆍ사직의 성격과 위치변화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rrangement of Both "Ancestral Temple and Altar of the Land and Grain" in the Planning of Ancient Chinese Capitals, and Its Meanings - from Shang to Qin eras: the nature of Zongmiao and Sheji, and its location changes -

중국 고대도성계획에서 종묘ㆍ사직의 배치와 그 의미 - 상대에서 진대까지 : 종묘ㆍ사직의 성격과 위치변화를 중심으로 -

김영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explores the nature of both Ancestral Temple (thereafter called Zongmiao) and Altar of the Land and Grain (thereafter called Sheji), and their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ir arrangement, size, and location, through the restoration of ancient capitals from Xia-Shang to Qin times drawing upon historical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field surveys, and then investigates the meanings which intend to reveal through their choices in the city planning of the eras. Therefore, this study will proceed as follows: first, it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Zongmiao․Sheji in the planning of ancient Chinese capitals; second, from Xia-Shang to Qin times, employing historical sources which are relevant to buildings and daily life of the times, this thesis discusses the location changes of Zongmiao․Sheji of each era; third, exploiting historical documents, relics, and excavation reports, it comprehends their situation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Zongmiao․Sheji, and ultimately finds substantial meanings for the preservation and reuse of historical citi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夏商代에서 秦代까지의 도성계획에서 朝寢영역과 대응하여 각 시대의 종묘․사직의 위치와 규 모에서 드러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먼저, 고대도성계획에서 宗廟와 社稷의 성격을 논하였다. 둘째, 夏商代 偃師 二裏頭에서부터, 偃師 商城, 殷墟 小屯 등을 거쳐, 秦代 咸陽城까지 순차적으로 역사문헌과 발굴조사보고를 근거로 각 시대별 고대도성계획에 서 조침과 의례시설을 중심으로 복원하여 그 배치양상을 이해하였다. 셋째, 각 시대별 복원된 도성계획에서 조침과 의례시설의 입지와 비교하여, 시대별 종묘․사직의 성격, 규모, 건축구성, 배치, 위치 등의 변화양상과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 방법과 범위
  1.3 기존 연구 성과와 문제점
 2. 고대 도성에서 "종묘ㆍ사직"의 성격
 3. 夏商시기 종묘ㆍ사직 : 朝寢과 廟社의 공존
  3.1 하상대 언사 이리두(夏商代 偃師二裏頭)
  3.2 商代 偃師商城과 殷盧 小屯 宮殿
 4. 周代-素代 종묘 · 사직 :左廟右宮 · 宮廟一體에서 左祖右社
  4.1 素代 이전의 종묘와 사직
  4.2 素代의 종묘와 사직
 5. 夏商代-素代의 종묘 ·사직의 변화양상
 6. 결론 : 도성계획에서 종묘ㆍ사직의 배치와 그 의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영재 Kim, Young-Jae. University of Pennsylvania, USA, 건축학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