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roughout most of the 20th century, the Korean people haveyearned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and unified Korea. Despite serious tension and animosity between North and South,Koreans harbor a powerful desire for reunification. However, over thepast few years, although the underlying assumption of eventualreunification remains, forecasts of when this will occur have been fewerand more subdued than the confident predictions of the 1990s. Discussionsregarding the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r is at a standstill, andthe reunification education is faltering. In order to suggest a solutionfor stimulating animated discussions on the education of reunification,this paper attempts to analysis currently dominant issues such ascharacters of reunification education, perspectives of North Korea, andtypes of reunification education from a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And it reviews main models of reunification education(traditional model,new paradigm, peace education) critically. Finally, several suggestionsfor Christian peace education are suggested.
한국어
현재 한반도 상황은 일방적 흡수 통일에 대한 두려움과 불신을 전제하는 북한과 신뢰형성을 전략으로 남북관계를 유도하려는 남한 정부 간의 상이한 시각차에 따른 상호 대립과 갈등의 양상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남북 간 상호 대립과 갈등을 극복하고 통일을지향하는 기독교교육학적 해결을 제안하는 이 논문은 일차적으로 통일교육과 관련해서 최근에 쟁점이 되고 있는 주제들 가운데 통일교육의 성격, 북한 이해의 문제, 통일교육의 형태를 중심으로 개략적으로 검토한다. 계속해서 통일교육의 쟁점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기존의 통일교육의 모형들(전통적 통일교육, 신패러다임 통일교육, 평화교육)을 비판적 관점에서 개관하고 평가한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기독교 평화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세 가지원리, 즉 기독교교육학적 차원에서의 통일교육에 관한 지속적 논의, 통일의 개념과 정책에대한 비판적 성찰, 기독교 통일교육의 개방성과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제안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통일교육의 최근 쟁점들
1. 통일교육의 성격
2. 북한 이해 문제
3. 통일교육과 평화교육
Ⅲ. 통일교육의 모형들
1. 전통적 통일교육
2. 신패러다임 통일교육
3. 평화교육
Ⅳ. 나가는 말: 기독교 평화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