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인 밴의 상징적 예배언어가 주는 기독교교육적 함의들

원문정보

Educational Implications from Jane Vann’s Understanding of Symbolic Languages of Worship

신형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from Jane Vann’s understanding of symbolic languages of worship by identifying educational discussion topics related to the context of worship and analyzing generative educational implications critically. In the beginning of the early church, the relationship between worship and education has been reciprocal and inseparable. In this regard, Jane Vann understands that there are liturgical channels which help congregation members discern and participate in the presence of God in the context of worship. While liturgical enculturation theorists have focus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liturgy with attention to people’s faith formation, the concrete educational tasks for analyzing worship experiences and helping them participate in worship have not been developed appropriately. In this context, Vann introduces the concept of “symbolic languages of worship”-such as worship space, gesture, symbol, time, language, and music-that may help congregation members discern and participate in the presence of God in the context of worship more clearly and deeply. For Vann, the strong liturgical juxtaposition between the Word of God and symbolic languages of worship helps people be the more active, conscious, and participative worshipers at worship service. In this sense, this study (1) identifie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worship experiences, (2) analyzes educational discussion topics and issues which Vann raises from the context of worship, and (3) finds generative educational implications. This critical analysis may require the roles of students, teachers, and pastors as well as the educational strategies to be reconceptualized in the educational context of worship.

한국어

기독교 초기부터 예배와 교육은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어왔다. 회중은 예배에 참여하며그리스도인으로서의 세계관과 가치관과 삶의 패턴을 인식하고, 내면화하여, 그들의 신앙을형성하고 발전해왔다. 기독교교육학자 이자 실천신학자인 제인 밴은 예배의 현장에 회중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임재를 분별하고, 참여하게 도와주는 통로가 있음을 주장하며, 이를“상징적 예배언어”(symbolic languages of worship)라고 소개한다. 본 연구는 제인 밴의 상징적 예배언어가 예배의 현장에서 제기하는 기독교교육적인 논제들을 정리하고, 이러한 상징적 예배언어가 예배현장에 던져주는 기독교교육적 함의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지난 30여 년간 예전적 문화화 학자들의 연구는 예배경험과 신앙형성의 상보적인 관계에 대한 논증이 발전시 켜온 반면, 어떻게 하면 학생들로 하여금 좀 더 형성적인 예배경험을 하게 도울 수 있을지에 대한 구체적인 기 독교 교육적 분석의 기준과 과제를 제공해 주지는 못해왔다. 바로 이러한 상황속에서 제인 밴은 “상징적 예배 언어”라는 개념을 소개하며, 이러한 예배언어들이 하나님 말씀과의 병치(juxtaposition)를 강력히 이룰 때에 회중들은예배에 좀 더 온전하고 적극적이고 참여적인 예배자가 될 수 있다고 이해한다. 밴은 예배의 장소, 공 간, 움직임, 시간, 언어, 음악들을 대표적인 상징적 예배언어들로 소개하면서,예배의 현장에는 이러한 상징적 예배언어가 던져주는 기독교교육적 함의가 있음을 주장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함의를 발견하기 위하여 첫째, 예전적 문화화이론에서 이해하는 학생들의 예배경험과 신앙형성의 관계에 대하여 정리해보고, 둘째, 밴이 주 장하는 상징적 예배언어 및 각각의 예배언어가 예배의 현장에서 제기하는 기독교교육적인 질문들을 정리한 다. 마지막으로, 상징적 예배언어가 예배현장에 던져주는 기독교교육적 함의들을 발견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는 오늘날 예배에 대한 의미있고 비판적인 기독교교육적 대화를찾고자하는 우리에게 교사, 학생, 교역자 의 역할에 대한 재개념화를 요구하며, 더불어 예배와 예배교육에 관한 비판적 대화로서의 교육전략을 제시한 다.

목차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예배와 신앙형성의 관계
 Ⅲ. 상징적 예배언어와 질문들
  1. 상징적 예배언어와 병치
  2. 교육목회적 전략: 묘사, 분석, 상상, 계획
  3. 상징적 예배언어의 주요논제와 질문들
 Ⅳ. 상징적 예배언어가 주는 기독교교육적 함의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형섭 Hyoung Seop Shin. 장로회신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