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Modern society is multi-cultural. The difference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is that multi-cultural situation is the same, but the content of education is different.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knowledge, recognition, and attitude about other cultures.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deals with more broad and deeper content of education that is needed in multi-cultural society than in the Christian perspective. This study deals with multi-academic foundations-philosophical, psychological, bibl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 It also deals with the approach of public church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To insist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pirituality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defines modern concept of spirituality and explains post-modern culture, critical reflection of education, the discussion about religious education in schools, and negative images of Christianity in Korean society. Four elements of spirituality education are described from theoretical foundations: multi-cultural self, reflection and praxis, spirituality of community, and spirituality of participational in the society. First, a multi-cultural self that is post conventional with a strong identity of his/her own but accepts others as they are and knows to yield authority as a leader to approach at an equal level. Second, showing his/her relationship with God by reflecting and practicing in everyday life. Third, restoring and seeking God’s kingdom by always fulfilling others’ and nature’s needs in life and bringing justice to the community. Lastly, is overcoming the formal spirituality by being more participational with God’s vision in society. With these four element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considerations to develop a concrete spiritual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한국어
현대 사회는 다문화 사회로 다양한 문화를 접하며 살고 있다. 일반적인 다문화 교육은다문화적인 상황은 같지 만 다른 문화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 등을 주요 교육 내용으로삼고 있다. 기독교교육에서 다루는 다문화 교 육의 가르치는 내용은 다문화 상황에 필요한보다 넓고 깊은 내용들을 기독교적인 관점으로 특정 다문화를 넘 어서는 내용들을 다룬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문화 기독교교육을 위해 교육의 주요 요소 들에 대한 기초를 세우기 위해 다학문적 기초-철학적 접근으로 타자성의 철학, 심리학적 접근으로 후 인습적 자아 정체성, 성서적 접근으로 구약과 신약의 다문화인에 대한 태도, 신학적 접근으로 볼프의 포용의 신학-와 기독교교육의 공교회적 접근을 살펴보았다. 다문화 기독교교육을 위해 영성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기 위해 현대의 영성 개념을 일상의 삶에서 나타나는 실천적인 총체적 변화를 의미하는 기독교적 영성과 특정 종교를 넘어선 영성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다문화 사 회에서 영성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포스트모던문화, 일반교육에 대한 비판적 성찰, 학교의 종교교육의 방향, 그리고 한국 사회에서의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이론적 기초를 통해 얻은 다문화 기독교교육을 위한 영성교육의 요소를 네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후 인습 적 성숙한 자아로 자신에 대한 확고한 정체성은 있지만 타인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주체로서의 권위를 포 기하고 대등한 관계에서 서로에게 다가감을 위해 필요한 다문화적 자아이다. 둘째, 하나님과의 관계가 실생활 에서 살아 있고 실제로 경험되는 성찰과 실천적 영성이다. 셋째, 여러 관계 속에서 자연과 다른 사람들의 필요 를 채워 주고, 사회의 정의를 구현하기 위하여 노력하며 파괴된 하나님의 세계의 회복과 조화를 위해 추구하 는 공동체적 영성이다. 마지막으로, 하나님 나라의 비전을 가지고 세상을향해 제도화된 형식적인 종교적 영성 을 초월하여 공적 영역에서 책임적 역할을 수행하게하는 사회참여적 영성이다. 이 네 가지 요소를 가지고 여 러 사역 현장에 적용 할 수 있는구체적 프로그램을 개발 시 고려할 사항을 제언하였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다문화 기독교교육에 대한 이론적 기초
1. 다문화 교육과 다문화 기독교교육
2. 다문화 기독교교육을 위한 다학문적 기초
3. 기독교교육의 공교회적 접근과 다문화 기독교교육
Ⅲ. 다문화 사회와 영성교육
1. 현대의 영성 개념
2. 다문화 사회에서의 영성의 중요성
3. 영성과 다문화 기독교교육
Ⅳ. 다문화 기독교교육을 위한 영성교육의 네 가지 요소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1. 영성교육의 요소
2.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