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전환기 고전문학의 정전과 표상”

육당문고 소장 조선광문회본 고소설에서 드러나는 초창기 검열 양상과 검열 우회의 징후

원문정보

Initial Appearance of Censorship and Signs of Censorship Detour that are Shown in Joseon Kwangmunhoi Version Korean Classic Novels from Yukdang Library

김성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nsiders the Joseon Kwangmunhoi version Korean classic novels from Korea University Yukdang library which shows evidence of censorship as its subject of argument.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every publication had to be censored. There was no exception. Thus it is obvious that novels also were subjects of the censorship. But,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classic novels have, censorship as the period situation doesn't seem to be looked at much in the studies of the novels that were published in the era. Perhaps it is because the censorship — though it undoubtedly existed — haven't considered to have influenced the novels much. Actually, from the results of censorship that targeted at classic novels, not a novel that could not pass the censorship was found. Also there are few known reference data that include censorship-related information. Classic novels that were published as printed books in Japanese colonial era are, in general, those that were only transformed into a different media with faithful reflections of the customs from previous generations. Joseon Kwangmunhoi version novels, which are block books, have signs that they passed the censorship of Japanese Empire. And in the body, modification details are written on empty spaces. That is the reason I consider this version to be the script used for comparison in the making of the printed books of Sinmungwan. It is because they are modified. However, besides understanding Joseon Kwangmunhoi version as scripts for recension, the fact that this version was submitted for censorship important is important to understand printed classic novels. Because in comparison of this version — which was submitted to pass the censorship — and the printed version which was published, the modified or corrected parts turn out not to have been applied. This disagreement between the results of censorship and publication, is a collateral evidence that the censorship process toward novels wasn't precise. Using the situation like this, among the printed novels published afterward, there sometimes appeared some ways to detour the censorship thus include content that criticized the time.

한국어

본고는 고려대학교 육당문고에 소장된 조선광문회본 고소설 중에서 검열된 흔적이 남아있는 자료를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일제강점기에 출판된 모든 출판물들은 검열을 받아야 했다. 검열의 대상에는 예외가 없다. 따라서 고소설도 또한 검열의 대상이었음은 분명하다. 하지만 고소설 자체가 지니고 있는 성격 때문에 일제시 대에 출판된 고소설들을 연구함에 있어서 ‘검열’이라는 시대적 상황은 크게 염두에 두지 않는 듯하다. 그것은 검열의 존재는 당연히 존재하고 있지만 그것의 영향력이 작품 자체에 크게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 문일 것이다. 실제로 고전소설을 대상으로 진행한 검열 결과에서, 검열을 통과하지 못한 자료를 찾을 수는 없 다. 또한 검열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자료도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일제시대에 활자본으로 출판된 고소설들은 대체로 전대의 관습을 충실히 반영해 매체만 바꾸어 출판한 것들 이다. 조선광문회본 고소설은 목판본인데, 표지에는 일제의 검열을 통과했다는 표식이 남아있다. 또한 본문에 는 수정된 내용들이 공란에 적혀 있다. 조선광문회본을 신문관에서 간행한 활자본의 대본으로 사용된 것으로 파악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 이 자료가 수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자료는 교정본으로만 파악하기보 다는 이 자료가 검열을 위해 제출된 자료라는 사실도 활자본 고소설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하다. 검열을 통과 하기 위해 제출된 이 자료와 활자본으로 간행된 자료를 비교했을 때, 본문에서 수정되고 교정된 부분이 활자 본에서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검열된 결과와 출판된 결과가 다르게 드러난다는 것은, 고소설을 대상으로 진행했던 검열이 그리 엄밀하게 진행되지 않았다는 것을 방증한다. 이와 같은 상황 을 이용해서 차후에 간행되는 활자본 고소설 중에는 당대의 시대 비판적 내용을 작품 속에 포함시키는 검열 우회의 방식이 등장하기도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조선광문회에서 수집한 고소설과 출간된 결과물로서의 신문관 활자본, 그리고 검열의 관계
 3. 검열된 결과물로서의 활자본 소설, 그리고 검열의 우회
 4.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성철 Kim, Sungchul. 고려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