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observed the relations between stress experienced by soldiers during their military life and adaptation, and had the objective of identifying the roles of factors which cause influence in military life adaptation to promote the increase of military life adaptability in soldiers.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544 soldiers from the armed forces, the army, navy, air force, and the marine corps. Based on the findings, it was displayed that stress in soldiers from military life caused direct influence on the social network, personal competence, and military life adaptation. However, it did not cause direct influence in the coping method. Second, it was displayed that stress in soldiers from military life caused indirect influence on the military life adaptation by taking personal competence, social network, and coping as mediating factors. Third, it was displayed that personal competence of soldiers had indirect influence on military life adaption by taking coping as the mediation and indirect influence was caused on coping by taking social network as the mediation. Fourth, it was displayed that the social network of soldiers caused influence on military life adaption by taking coping as the mediation. However, it was displayed as not causing direct influence on military life adaptation. Lastly, it was displayed that soldiers with large structures of social networks possessed a high level of military life adaptation and personal competence, functions of social network, and coping methods. On the contrary, the level of stress from military life was displayed as low. It was displayed that the military life adaptation of soldiers was influenced by military life stress and personal competence, social network, and mediating effects of coping along with each factor. This study established a theoretical ground on the research conducted on soldiers by verifying the hypothesis regarding resources and roles of coping focused on the stress coping model. Additionally, the aim was to contribute to the military social welfare systemization centered on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 securement of personal competence and social network.
한국어
이 연구는 병사의 군생활 스트레스와 군생활 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군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역할을 파악하여 병사들의 군생활 적응력 향상을 도모하는데 목적을 두고 육․해․공군 및 해병대 병사 544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병사의 군생활 스트레스는 사회적 관계망, 개인역량, 군생활 적응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처방식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병사의 군생활 스트레스는 각각 개인역량, 사회적 관계망, 대처를 매개요인으로 하여 군생활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병사의 개인역량은 대처를 매개로 하여 군생활 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관계망을 매개로 하여 대처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병사의 사회적 관계망은 대처를 매개로 하여 군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군생활 적응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가 큰 병사들이 군생활 적응과 개인역량,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 대처방식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군생활 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병사의 군생활 적응은 군생활 스트레스와 개인역량, 사회적 관계망, 대처의 매개효과와 더불어 각 요인들 자체만으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스트레스 대처모델을 중심으로 대처자원과 대처의 역할에 대한 가설을 검증함으로서 병사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확립하였으며, 개인역량과 사회적 관계망의 확보를 통한 지역사회중심의 군사회복지 제도화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스트레스와 대처 모델
2. 군생활 스트레스와 군생활 적응의 관계
3. 군생활 스트레스와 대처자원, 대처, 군생활 적응과의 관계
III. 연구모형과 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 대상 및 표집방법
3. 변수의 정의와 측정
IV.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변수 간의 상관관계
3. 연구모형 분석
4. 최종 모형 분석
5. 매개효과 분석
6. 집단별 잠재평균 분석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