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구촌 기독교(World Christianity)의 등장과 그 개념화 작업

원문정보

Emergence of World Christianity and Its Conceptualization

박형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onstruct a concept of “world Christianity” and its implications in doing theology, history,and mission studies. The term “world Christianity,” frequently occurring in contemporary scholarship, is not simply a geographical rendering. It comprises a cultural dimension of Christianity, a new dimension of ecumenism, and a new agenda for theology marked by non-Western contexts. An attempt is made to conceptualize via negativa (apophatically), i. e., what world Christianity is not:Christianity is not ideological, territorial, and monocenteric. Another way of conceptualization is made in terms of couplets or pairs of concepts, not in contradictory but complementary Hyung Jin Park graduated from Korea University(B.S.),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M.Div.), Wheaton College Graduate School(M. A.) and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Th.M., Ph.D.). He did Theological Education Ministry/Domestic and Overseas Seminaries(1998~present),Korean Immigrant Church Ministry(1989~2009). Currently, he is assistant professor of Mission/Intercultural Studies at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and associate director of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Mission. 39Hyung Jin Park Emergence of World Christianity and Its Conceptualization terms: plural and catholic; particular and universal; intercultural and cross-cultural; local and global; and Southern and Northern. The current scene of worldwide Christian communities truly demonstrates the nature and the power of the Christian Gospel. This means, conversely, that by closely examining the various phenomena of emerging world Christianity we can arrive at the understanding of the true nature of Christianity. Finally, the quintessence of world Christianity lies in the Triune God Himself.

한국어

이 소고는 소위 “지구촌 기독교”에 대한 개념화의 한 시도이다. 이 개념화가 신학, 역사 및 선교학에 주는 함의들이 무 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요사이 학자들의 담론가운데 자주 일컬어지는 “지구촌 기독교”라는 용어는 단순히 지리적 의미만을 전달하는 것은 아니다. 기독교의 문화적 차원, 새로운 에큐메니즘의 양상, 특히 비서구세계에서 제기되는 새 로운 신학적 의제(agenda)를 내포하기 때문이다. 먼저는 부정을 통한(apophatic) 개념화를 시도했다. 즉 지구촌 기독교가 ‘아닌’ 것은 무엇이냐는 것이다: 기독교는 이데 올로기적, 영토적(territorial), 단중심적(monocentric)이지 않다는 것이다. 또 다른 시도로 짝개념을 이루는 틀을 통해 개 념화를 시도해보았다: 복수성(plurality)과 보편성(catholicity); 특수성(particularity)과 일반성(universality); 문화상호간(intercultural)과 문화이행간(cross-cultural) 해석; 로컬(local)과 글로벌(global)의 공존; 그리고 남반구와 북 반구 기독교의 양상 등이다. 이 짝 개념은 상호 모순적이라기보다는 상호 보완적 의미를 지닌다. 현재 지구촌에 편만한 다양한 기독교 공동체의 모습은 진정 기독교 복음이 지니는 속성과 생명력이 무엇인지를 보여주 고 있다. 이를 거꾸로 말하면, 요사이 부상하고 있는 지구촌 기독교의 여러 현상들을 잘 살펴볼 때비로소 기독교의 본질 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구촌 기독교의 진수는 한마디로 삼위로 계신 하나님 자신께 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논문 초록
 I. 들어가면서
 II. 용어에 대한 설명 및 용어의 초기 출현
 III. 개념화의 시도들 : 반 두젠(Van Dusen)에서 어빈(Irvin)까지의 궤적
 IV. 부정(apophatic)을 통한 개념화
 V. 지구촌 기독교의 짝 개념들
 VI. 나가면서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형진 Hyung Jin Park. 한국 선교연구원(KRIM) 협동원장,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선교학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