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효율적인 선교사 후원

원문정보

Efficient Missionary Sponsorship

이희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ission is fundamentally Missio Dei, but the independent determination and responsibility of the church or persons who respond to God's calling still remains. This is because mission is accomplished by the autonomous response and participation of God's cooperators, namely the Church and the Missionary. Sponsorship must be considered and prepared when training and dispatching missionaries, for without the sponsorship of the dispatching church mission cannot be carried out. In missionary sponsorship, who, how, how much, and what must be considered. The matter of who sponsors, is the matter of whether the sponsor is an individual, church, or an organization. The matter of how deals with the suitability of the method of sponsorship, and the matter of how much deals with the suitability of the scale of sponsorship. The matter of what includes prayer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such as living costs, education costs for the children, and costs for mission works. The reality of missionary support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most missionaries think that support is insufficient. Living expenses and costs for mission works may be insufficient from time to time so often the separation of the two are obscure. Second, this makes the poor get poorer and the rich get richer. Most missionaries collect funds individually, so some are always in need whereas some are relatively well off. Third, educational expenses are a huge burden for missionaries. Due to the unsatisfactory levels of education in local schools, many missionaries send their children to international schools which costs cannot be covered with the funds from the home country. How and to what extent should missionaries be sponsored? First, the living costs should be correspondent with the economical and living standards of each country. The unified draft of international mission funds in the Korean Church sets the range of support according to region and country. At the same time missionaries should lead frugal lives so that their living standards do not differ much from the locals. Second, discussion on the suitability of the ministry should precede the funding. The ministry or project at hand must be strategically confirmed and consulted to see if it is necessary for the local area, and it should be sponsored according to a specific scheme. Failing to do this can result in wasting funds in unnecessary work. Mission funding polic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forms: The Pulling System, One to One System, and the mixed system. The Pulling System collects and distributes the funds collectively. In the One on One System the funds that an individual missionary collects is sent to that missionary. The mixed system complements the weaknesses of the Pulling System and One on One System. Personal living costs are sent to the missionary while funds for ministering and special projects are determined after discussion. Currently most churches or organizations use the One on One method. However in the long run the Pulling System should be adopted. If not, the mixed system is also desirable. What is the method of sponsorship for efficient missionary work? First, basic living costs must be sufficiently covered for the missionary to focus on missionary work. Second,missionary work and projects must be examined and discussed according to strategical plans before being determined and carried out. Third, the form of individual ministry must be broken so that many churches or organizations can participate and sponsor the missionary work. Fourth, the channel of funding should be unified. Rather than having the missionary collect the funds, having the denomination or missionary organization do it for them or having the missionary send the collected funds to the denomination or organization allows for an efficient management of missionary funds. Now we must break free from simple and indiscrete sponsorship and fund our missions strategically and schematically. Most of all an advanced systemization of missionary funds is urgent. A system that allows money collected through the headquarters to be sent to the missionaries and the rest to be saved up as a fund for missionaries. An organized mission sponsorship system should be generally established so that the money is not spent indiscretely or leaked out.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field should be provided by the denomination, missionary organization headquarters, or the individual missionary when requesting support, so that missionary work can be carried out and sponsored politically and strategically. This is the proper sense of mission that should spread and gain consensus.

한국어

선교는 본질적으로 하나님의 선교이나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교회와 사람의 주체적인 결단과 책임이 없지 않다. 선교는 하나님의 동역자인 교회와 선교사의 주체적인 응답과 참여로 완수되기 때문이다. 선교사를훈련하고 파송할 때 반드시 고려되고 준비되어야 할 것이 선교사에 대한후원이다. 파송하는 교회의 후원이 없으면 선교를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선교사 후원은 누가 후원하는가, 어떻게 후원하는가, 얼마나 후원하는가 그리고 무엇을 후원하는가를 생각해야 한다. 누가 후원하는가 하는 문제는 후원자가 누구인가, 즉 개인인가 교회인가 단체인가 하는 것이고 어떻게 후원하는가 하는 문제는 후원 방법의 적정성에 대한 것이다. 그리고얼마나 후원하는가 하는 것은 후원 규모의 적정성을 말한다. 그리고 무엇을 후원하는가 하는 문제는 생활비와 자녀 교육비와 사역비 등 재정적인후원과 기도 후원이다. 선교사 후원의 현실을 보면 첫째,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후원이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 때로는 생활비가 모자 라고 때로는 사역비가 모자라서 생활비와 사역비의 구분이 모호할 때가 많다. 둘째, 그러기에 선교비 후원의 빈익빈 부 익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대부분 선교사 개인이 후원금을 모금하다보니 어떤 선교사는 늘 부족하고 어떤 선교사는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것이다. 셋째, 자녀 교육비가 선교사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있다. 많은 선교사들이 현지 학교의 교육수준 문제 때문에 국제학교에 자녀들을 보내고 있는데 그 비용이 매우 높아서 본국에서 보내주는 생활비로는 감당 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선교사를 어떤 방법으로 후원하고 어떤 범위까지 후원할 것인가? 첫째, 선교사의 생활비는 각 지역과 국가의 경제수준 과 생활수준에 맞게 후원하여야 한다. 한국교회 해외 선교비 통일안은 지역별, 국가별 지원 범위를 정해놓고 있다. 동시 에 선교사들은 현지인들의 생활수준과 너무 차이나지 않게 검소한 생활을 해야 선교에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사역비 는사역의 적절성을 확인하고 협의한 후에 후원해야 한다. 그 사역이나 프로젝트가 현지에 꼭 필요한 것인지 전략적으로 확인하고 협의하고 구체적인계획에 의해서 지원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불필요한 사역에 후원금이낭비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선교 재정정책의 형태는 세 가지로 나뉜다. 공동분배 방법(Pulling System)과 개별후원 방법(One to One System)과 복 합형 방법이 있다. 공동분배 방법은 선교비를 공동으로 모금하고 공동으로 분배하는 것이다. 개별후원 방법은 선교사가 모금해온 선교비를 그 선교사에게 송금하는 경우이다. 복합형 방법은 공동분배 방법과 개별후원 방법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다. 개인 생활비는 선교사에게 송금하고 사역비와 특별 프로젝트 경비는협의해서 결정하고 진행한다. 현재 대부분 의 교회나 선교단체는 개별후원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장기적으로는 공동분배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 다면 복합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효과적인 선교를 위한 후원은 어떻게 할 것인가? 첫째, 선교사가 사역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생활비가 충분하 게 후원되어야 한다. 둘째, 선교사역과 프로젝트는 전략적인 계획에 의해서 검토되고 협의하고 결정해서 진행되어야 한 다. 셋째, 단독사역 위주의 선교형태를 벗어나서 여러 교회나 선교단체가 함께 선교사역에 동참하고 후원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후원창구를 단일화해야 한다. 선교사 개인이 생활비나 사역비를 모금하게 하지 말고 교단이나 선교단체 본부가 모금을 하든지, 선교사가 모금하더라도 모든 후원을 교단이나 선교단체 본부로 보내게 함으로써 선교비의 관리를 효율 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제는 단순하고 무분별한 후원에서 벗어나서 전략적이고 계획적인 후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선교재정 의 선진 시스템화가 시급하다. 즉 선교본부 계좌로 들어온 선교비가 선교사들에게 송금되고 나머지는선교현지와 선교 사들을 위한 기금으로 적립될 수 있도록 재정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 체계적인 선교후원 시스템을 종합적으로 정착시 켜서 선교비의 무분별한 지출이나 선교비의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교단이나 선교단체 본부나 선교사 개인 이 충분한 선교지의 정보를 제공하고 후원을 요청하고 정책적, 전략적으로 선교사역을 시행하고 지원할 수 있어야하며, 이러한 선교에 대한 바른 의식이 확산되고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한다.

목차

논문 초록
 Ⅰ. 들어가면서
 Ⅱ. 선교사 후원의 현실
 Ⅲ. 선교후원의 범위와 방법
 Ⅳ. 선교 재정정책의 형태
  A. 공동분배 방법(Pulling System)
  B. 개별후원 방법(One to One System)
  C. 복합형 방법
 Ⅴ. 각 교단의 후원형태
  A.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B.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총회세계선교회(GMS)
  C.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D. 기독교대한성결교회
 Ⅵ. 효과적인 선교사 후원의 방법을 위한 제언
 Ⅶ. 나가면서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희수 신성교회 담임목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