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ㆍ중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gistration of Korea-China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송미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for the registration of Korea‐China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aning of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gistration, and how to register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Korea as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resolving conflicts with China. To identify the standards and criteria of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tatu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management systems of Korea and China, and the status of registration of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nstitution, declarations, magazine, newspapers and worldwide heritage committee operational guidelines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UNESCO is the first UN specialized institution and has been appoin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 the request of registration of orally transmitted 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with high values through Oral or Intangible Masterpiece System every other year from 2001. Competition of the countries to be registered as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getting fiercer and conflicts around the ownership of intangible culture have arisen. In particular,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for Suzerainty are getting fiercer because of long history of interchanges. When looking into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around the registration of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followings are found; first, Goguryo tombs were registered by China and by North Korea respectively in 2004. Second, relating Danoje, Korea registered Gangreung Danoje in 2005 and China registered it as Yongseon Festival in 2009. Third, relating Nongak (Korean traditional music played by farmers) Nongmu by Chosun people living in China was registered in 2006. Fourth, relating with traditional medicine, Donguibogam in Korea was registered in 2009, while China registered acupuncture in 2011. From 2004 to 2012, there were cultural conflicts between two nations in 5 items including the registration of Arirang by Korea in 2012. In the future such competitions will be fiercer. Therefore, we need to establish fair and reasonable norms so that it would not be developed into the conflicts between two nations, to promot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 to the rest of the world and to perform active diplomatic activities to register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UNESCO as the culture of Korea.

한국어

본 연구는 한․중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현황에 대한 연구로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의 의미와 한국과 중국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둘러싼 이해관계와 해법 등 한국의 무형문화재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제도의 선정 및 등재 기준, 한국과 중국의 무형문화제도 및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세계문화 유산 헌장 및 선언문, 잡지, 신문, 세계유산위원회 운영지침에 관한 각종 문서 등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유네스코는 최초의 국제연합전문기관으로서, 2001년부터 격년제로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제도를 통해 세계 각국의 뛰어난 가치를 지닌 구전 및 무형유산의 등재신청을 받아 지정해왔다.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기 위한 각국의 전략도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으며, 무형문화의 소유권을 둘러싼 갈등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한국과 교류가 많았던 중국과 전통문화의 종주권 문제를 둘러싼 국가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등재를 둘러싼 한․중 문화갈등 종목을 살펴보면, 첫째, 고구려 고분을 2004년 중국과 북한에서 각각 등재, 둘째, 단오제 관련해서 2005년 한국의 강릉단오제 등재, 2009년 중국에서 단오제를 용선축제로 등재, 셋째, 농악관련해서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족의 농무 2006년 등재, 넷째, 전통의학 관련해서 2009년 한국의 동의보감 등재, 2011년 중국의 침구 등재, 2012년 한국의 아리랑 등재 등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총 5종목의 문화갈등이 나타나고 있다. 향후 이런 경쟁은 더욱 치열하게 전개될 것이다. 따라서 양국 간 문화 충돌로 발전하지 않도록 합당한 규범을 수립하는 한편, 한국의 전통문화예술을 전 세계에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무형문화유산을 유네스코에 등재하기위한 적극적 외교활동을 펼쳐야 할 것이다.

목차

I. 들어가기
 Ⅱ.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Ⅲ. 한․중 인류무형문화유산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송미숙 Song, Mi-Sook. 진주교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