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ociocultural Meaning of Three Kinds of Dances in Music Video Era -Focusing on Adrian Lyne’s Film, Flashdance-
초록
영어
An American romantic musical film Flashdance made in 1983 is about a kind of contemporary Cinderella who succeeds in getting upper class man’s love. The heroine of the film, Alex who is a welder and Go-Go dancer takes the first step to her dream of being a ballerina. The film gets a great box-office record because it expresses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video era of which symbol is MTV, by letting the audience not listen to but watch music. There are three groups of dances in the film. The first group includes professional dancers’ dances. The dances performed in Mawby’s bar and Zanzibar belong to this group. The audience and dancers are alienated from the dances after all. The second group includes ballet which is a kind of artistic dance. The hobby of ballet performing and watching becomes the cultural capital of upper class due to it’s demanding for long time training. The last group includes b-boying and other dances of street. The dances are kind of subcultures which resist the main stream of the society. They give great pleasure to the audience of the film as well as dancers and the people around them. Through the depiction of this dances, Flashdance succeeds in representing the vitality of those days.
한국어
1983년에 개봉한 뮤지컬 영화 「플래시댄스」는 철강 공장의 용접공이자 바의 댄서였던 하층 계급의 여성이 상 층 계급의 남자를 만나 사랑을 성취하는 현대판 신데렐라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주인공은 남자의 도움을 받 아 발레리나가 되려는 자신의 꿈을 향해 첫걸음을 내딛는다. 이러한 내용으로 된 이 영화는 MTV로 대표되는 뮤직비디오 시대의 특징, 즉 듣는 음악에서 보는 음악으로의 전환을 효과적으로 표현해 내었다. 그 결과 흥행 면에서 대단한 성과를 거두게 된 이 영화에는 독특한 특징과 기능을 가진 세 가지 종류의 춤이 등장한다. 첫 번째 춤은 이 영화 속에서 가장 화려하게 묘사된 춤으로, 클럽이나 바의 밤무대에서 전문 댄서들이 추는 춤 이다. 돈을 매개로 상품화되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러한 종류의 춤으로는 모비의 바에서 댄서들이 고객 들 앞에서 추는 춤과 잔지바르에서 댄서들이 추는 스트립 댄스가 있다. 남성 고객과 관객에게 관음증적 쾌락 을 제공하는 이 춤들은 춤을 추는 주체뿐만 아니라 관객까지 소외시키는 결과를 가져 온다. 두 번째 춤은 발레 인데, 이는 고급한 예술 무용에 속한다. 창작과 감상을 위한 장기간의 학습과 숙련을 요구하는 이 춤은 창작과 감상 과정에 참여한 사람들의 학력 차이를 뚜렷하게 부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하여 이 춤에 대한 취미는 계급 간의 차이를 분명하게 표시해 주는 문화 자본으로 기능한다. 마지막 춤은 길거리에서 사람들이 추는 여 러 가지 춤으로, 지배 문화에 대한 저항성을 지닌 하위문화의 일종이다. 비보잉으로 대표되는 이 춤은 현장에 서 춤을 추는 사람과 보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영화 관객들에게도 즐거움을 선사한다. 이 영화는 마지막 종류 의 춤에 대한 긍정적 묘사를 통해 영화가 제작되던 당시의 시대적 활력을 성공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목차
Ⅱ. 남성을 위한 상품으로서의 밤무대 춤
Ⅲ. 고급한 문화 자본으로서의 예술 무용
Ⅳ. 쾌락과 저항의 도구로서의 길거리 춤
Ⅴ. 뮤지컬 영화를 통한 시대적 역동성의 표현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