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대학생의 경력역량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과 시사점

원문정보

A Review and Prospect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Career Competencies

권영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has a purpose that it compare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university students’ career competency status and required career competency by companies, and discusses implications from it. At the present, in Korean society career competency that university students prepare is mostly for preparation of job seeking. Therefore, social consumption and investment for it is significant. This is because of the lack of employment scale and quality jobs as well as there is the limitation of labor market whereas the number of students who want quality jobs has increased. Existing companies has emphasized on the job specifications and applicants’ capabilities. Recently the trend started changing that they look for liberal humanity and personal capacity. However, unlike the clear system to diagnose job competence, standards of these personal and liberal attainments has been scarcely suggested. Rather this trend aggravates competition of experiences. This paper, first, looks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on career competency and then suggests common contents of them. Subsequently, it compares job competence that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 and job competence that companies has suggested. The result of analysis is following: 1)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 job competence as creativeness, self-directed,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s, communication, interpersonal skills and cooperation, cosmopolitan outlook/globalization, expertise, research function, career/job attainments, understanding of the organization, attitude and etiquette, responsibility and flexibility. However, it found that job competence that university students prepare in real life is mainly focused on grade, foreign languages, interview, IT capability, certificates, field practice(internship), plural major, and appearance management. 2) Job competencoes required by companies for the university graduates can be divided into core competency, competency of attainments and humanistic competencies. Especially, it is recognizable that companies emphasize on personality, morality, and ethicality.

한국어

본 논문은 한국의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현황과 기업들이 요구하고 있는 역량 차이를 살펴보고 그 차이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 한국사회에서 대학생 스스로 갖추고자 하는 역량들은 기업에 입사하기 위한 취업준비가 대부분 이며 이에 따른 사회적 소비와 투자도 만만치 않다. 이는 급감하고 있는 채용 규모와 질 높은 일자리의 부족으로, 더 괜찮은 자리를 원하는 학생들은 늘어나고 있는 반면 노동시장의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종전의 기업에서는 직무 내용을 강조하며 각기 다른 쓸 만한 인재로서 업무적 능력을 강조하고 있으나 최근에 들어서는 그 추세가 인문학적 마인드와 인성적 역량으로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직무역량을 진 단하는 내용들의 명확한 체계와는 달리 소양적 자질을 보는 역량 기준 제시는 미흡한 실정이며 오히려 스펙위주의 경쟁을 심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우선 선행연구를 통해 그동안 다루어 왔던 경력역량과 관련된 자료를 살펴보고 공통된 내용을 정리 하여 제시하였다. 대학생 스스로 인식한 직업역량과 기업에서 제시한 직업역량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생들이 인식한 경력역량의 내용을 살펴보면 창의성, 자기주도, 문제해 결, 사고력, 의사소통, 대인관계 및 협동, 국제감각/세계화, 전문지식, 연구기능, 직무/직업소양, 조직에 대한 이해력, 예절 및 태도, 책임감과 융통성이었다. 그러나 실제 대학생들이 준비하고 있는 역량은 학 점, 외국어, 면접, IT 능력, 자격증, 현장실습(인턴), 복수전공, 외모관리로 국지적 내용에 치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에서 신입사원에게 요구하는 역량이라는 것은 크게 직업기초능력과 소양적 능력, 인문학적 능력으로 나눌 수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인성이나 도덕성, 윤리성을 강조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고찰
  2.1. 경력역량(career competency)의 개념
  2.2. 인문학적 역량(humanistic competencies)
  2.3. 구직 역량
 Ⅲ. 연구내용
  3.1.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직업역량
  3.2. 대학생과 기업에서 인식한 직업역량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권영주 Yeong-Ju Kwon. 장안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