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식민지 시기 조선 유학사 정리 작업에 대한 연구 - 장지연(張志淵)과 하겸진(河謙鎭)의 저항적 조선유학사 정리 작업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硏究關於植民地時期對‘朝鮮儒學史’的敍述-以張志淵與河謙鎭的抵抗的敍述爲中心-

정성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조선에서 통사적 유학사라고 할 수 있는 최초의 저술은 1882년에 나온 송병선의 『패동연원록』이다. 조선말기에 시작된 유학사의 편찬은 식민지시기에 들어서면서 보다 적극적이고 구체화되었다. 식민지시기에 편찬된 ‘유학사’는 장지연의『조선유교연원』과 하겸진의 『동유학안』이 대표적 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지연과 하겸진의 사상을 조명하고『조선유교연원』과『동유학안』에 내 포되어 있는 저항의식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장지연의 『조선유교연원』은 그 서술방식에서부터 ‘근대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또 학파나 연원으로 분류하지 않고 유학사의 시대구분을 하고 있다는 점, 시대별 주요 논변과 학문적 사건을 제시한다는 점, 학파적·지역적 입장을 가능한 한 탈피하여 그동안 소외되어 왔던 실학자나 양명학 자, 성리학에 비판적인 학자들까지 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패동연원록』보다 적극성을 띠고 있 다. 더구나 『조선유교연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문적 사건과 논변들은 대부분 후일 유학 연구 자들의 핵심 연구 주제가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하겸진의 『동유학안』은 위정척사의 입장에 있는 도학자의 관점에서 서술된 학안체의 유학사이 다. 『동유학안』에서는 새로운 학파분류 방법과 아울러 그 학파별 특징을 잘 제시해 주고 있으며, 학문적·당파적 분열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또 사화와 당쟁 등 유학이 정치 와 결합되어 나타난 부작용에 대해서도 안타까움을 표하고 있다. 하겸진은 장지연보다 전통적인 입장에서 유학을 되살리고자 하는 입장에 있었다. 이는 그가 유학적 예의를 국성(國性)으로 제시하 고 국성을 보존함으로써 국체를 되살릴 수 있다고 보는 관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두 저작에는 한계점도 존재한다. 이들은 조선시대에는 주목받지 못했던 학자들까지 포용하고 있지만, 둘 다 퇴계 영남학의 학통에 속하는 유학자로서, 자파 중심의 유학사 서술에서 완전히 탈 피하지는 못했다. 또한 둘 다 조선왕조 개창의 이론적 바탕을 제시한 정도전을 ‘조선유학사’에서 완 벽히 배제함으로서 그들의 내면은 여전히 조선왕조의 신민임을 드러내고 있다. 『조선유교연원』과 『동유학안』은 서술방식도 다르고, 구체적인 방법은 달랐지만 이 두 사람 모 두 우리민족의 정신적 바탕을 유학에 두고 민족정신을 회복하고자 했던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이러 한 점에서 볼 때 피식민 민족에게 패배의식을 심어주어 저항을 무력화하고자 식민지배를 정당화하 려는 일제의 식민정책에 대한 강한 저항 의식이 이 두 유학사 저술의 촉발점이었다고 하겠다.

중국어

朝鮮末, 宋秉璿著述『浿東淵源錄』(1882), 這是最初的‘朝鮮儒學通史’. 韓國儒學史之編纂於植民地 時期, 更多積極的和明確的. 韓國植民地時期之代表的朝鮮儒學史, 是張志淵之『朝鮮儒敎淵源』(1917)和河謙鎭之『東儒學案』(1943). 筆者試圖照明張志淵和河謙鎭之思想, 與試圖揭示『朝鮮儒 敎淵源』和『東儒學案』固有的抵抗意識.『朝鮮儒敎淵源』, 徵求近代的敍述方法. 不分類學派和淵源, 試圖儒學史的時代區分, 而提示時代的 主要論爭與學問的事件, 寻求逃生學派的色彩和地方色彩. 还這是書提示時代的主要論爭與學問的事 件, 后来成为了核心的研究课题, 意义在这方面. 河謙鎭之『東儒學案』是學案體的儒學史. 河謙鎭一个是谁支持衛正斥邪的学者.『東儒學案』提示 新的学術分类和學派的特色. 他還揭示批判的觀點對於學術和黨派的分裂, 還必須表示憂傷對於士禍 和黨爭. 河謙鎭提出儒敎的‘禮義’就是韓國人的‘國性’, 而他提出為了復活‘國體’應該受到保護‘國性’『朝鮮儒敎淵源』與『東儒學案』都有一個缺少粘性. 張志淵與河謙鎭都屬於嶺南學脈, 不能完全逃脫 自己的學術地位. 還他們都完全排除鄭道傳, 鄭道傳是朝鮮的一個開國功臣. 這一事實證明是他們不 能完全逃脫朝鮮之正統道學者的位置. 可以確定的是『朝鮮儒敎淵源』和『東儒學案』, 這肯定是表示抵抗意志對於日本帝國主義的植民 政策.

목차

한글요약문
 1. 서론
 2. 『조선유교연원』과 『동유학안』의 편찬 배경
  1) 장지연의 현실인식과 『조선유교연원』의 편찬 배경
  2) 하염진의 현실인식과 『동유학안』의 편찬 배경
 3. 『조선유교연원』과 『동유학안』의 특징과 함의
  1) 『조선유교연원』의 유학사로서의 특징과 그 함의
  2) 『동유학안』의 유학사로서의 특징과 그 함의
 4. 결론 - 『조선유교연원』과 『동유학안』에 나타난 식민지시기 '조선유학사' 편찬의 특징과 의미
 참고문헌
 中文提要

저자정보

  • 정성희 鄭聖喜. 성균관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