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秋巒 鄭之雲 著述 『天命圖說』의 思想史的 位相

원문정보

The Historical Status of "Cheonmyeong-Doseol" by Jeong Ji-wun

추만 정지운 저술 『천명도설』의 사상사적 위상

박성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pen name Chuman(秋巒; a mountain of Fall), Jeong Ji-wun(1509-1561) is a famous person wrote "Cheonmyeong -Doseol" which made two men, Yi Hwang and Ki Dae-sŭng dispute Sachil-Nobyeon(traditional argument about heart/mind). But except this point, few people of nowadays know who Jeong Ji-wun was. Therefore this paper is made for understanding Jeong Ji-wun in the point of view in history of thought. "Cheonmyeong-Doseol" by Jeong Ji-wun had systemized traditional theory of Cheonil-Habil(sky and human are an organic body), through this theory, Jeong Ji-wun had taken an important role who developed the Neo-Confucian theory in the field of political thought at that time. All Neo-Confucian literati used the theory of heart/mind as a sole useful method in political field from after King Myeonjong and Seonjo. "Cheonmyeong-Doseol" by Jeong Ji-wun was a first step to this scene. Especially "Cheonmyeong-Doseol" was got famous by arguments of Yi Hwang and Ki Dae-sŭng, great scholars in the history of Chosun Dynasty. They firstly developed Sachil-Nobyeon, Sandan(pure morality) comes from li, Chiljeong(emotions) comes from Ch'i, is it right or not? This argument with "Cheonmyeong-Doseol" raised up the level of Neo-Confucian theory at that time. Like this, "Cheonmyeong-Doseol" was on the first step for Neo-Confucian literati to study and develop their theory of political thought which covered politics in Chosun Dynasty.

한국어

秋巒 鄭之雲(1509-1561)은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의 四七論辨의 단초가 된 <天命圖說>을 그린 당사자로 유명하다. 그러나 이런 사실을 제외하고, 아직까지 추만 정지운이라고 하는 인물에 대해서 학계는 물론 일반대중들도 깊이 있는 인식을 갖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정지운에 대한 선행연구도 <天命圖說>의 내용 분석을 위주로 하는 미시적 방식 을 취하는 데 머물러 있다. 정지운의 삶과 학문이 그 가치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역사적인 맥락에서의 검토가 반드시 필 요하다. 정지운은 <天命圖說>을 지어 天人合一의 논리적 정당성을 이론적으로 밝혀 己卯士林을 신원하고, 그들의 유지를 정연 하게 체계화함으로써 조선성리학을 본격적으로 성숙시키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였다. 조선 중기 이후 사림파의 성리학 설이 정국을 주도하는 정치사상으로 자리 잡는다는 점을 볼 때 정지운의 <天命圖說>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의의는 아 무리 강조되어도 지나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정지운의 <天命圖說>을 두고 이황과 기대승 간에 벌어진 논변은 조선 성리학을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끌어 올리는 좋 은 계기가 되었다. 요컨대 정지운의 <天命圖說>은 <小學>과 <近思錄>의 이해 수준에 머물러 있던 당시 상황에서 理氣 心性論을 본격화함으로써 조선 전기 성리학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이황과 기대승 은 정지운의 <天命圖說>을 중심으로 논변함으로써 조선 성리학을 이론적으로 심화시키는 출발점에 서게 되었다. 이때 정착된 사림파의 心學化 경향은 명종과 선조대를 거치면서, 완전히 조선 정치사상사를 주도하는 정치이념으로 자리 잡 았다. 정지운의 <天命圖說>은 그러한 정치사상사의 흐름을 견인한 시발점이었다는 점에서, 우리는 정지운의 <天命圖 說>이 지니고 있는 중요한 역사적 의의를 확인하게 된다.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선초 士林派의 정치사상
 Ⅲ. 秋巒鄭之雲의 학맥
 Ⅳ.『 天命圖說 』의 역사적 의의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성순 Park, Sung-soon.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