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별기획 <『중용』의 한국적 전개>

다산 정약용의 『중용』해석에 대한 일고찰

원문정보

关于『中庸』之茶山的见解

임헌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이 글은 다산 정약용의 『중용자잠』과 『중용강의』를 주자의 『중용장구』 및 『중용혹문』과 비교 고찰함으로써, 다산의 『중용』의 해석에 나타난 경학적 특징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산의 『중용』해석을 살펴보려는 우리는 우선 『중용』에 대한 다산의 分章節, 그리고 『중용』이란 책의 성격을 규정하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주자는 『중용』을 理學의 관점에서 이해하였지만, 다산은 天命으로 일관된 책으로 규정하 면서 ‘昭事上帝之學’으로 규정하고 있다. Ⅱ장에서는 ‘中庸’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자는 ‘中’을 不偏不倚無過不及之名으로 규정하고, 庸은 平常이라고 정의했다. 이에 대해 다산은 中庸의 연원에 천착하면서, 中에 대한 주자의 정의는 수용하지만, 庸에 대한 해 석에는 반대의 입장을 표명하면서 庸이란 經常 혹은 恒常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Ⅲ장에서는 주자와 다산의 『중용』해석에서 가장 큰 대비 점을 이루는 구절을 살펴보았다. 그것은 곧 首章의 구절에 서 “君子 戒愼乎其所不睹 恐懼乎其所不聞”에서 ‘不睹不聞’, “莫見乎隱 幕顯乎微”에서 ‘隱微와 愼獨, 그리고 “喜怒哀樂之 未發 謂之中 發而皆中節 謂之和”에서 ‘未發’이라는 구절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와 연관된다. 여기서 주자는 理學의 관 점에 입각한 해석을 제시했으며, 다산은 上帝學의 관점에서 실천지향적 해석을 제시함을 고찰하였다. 주자는 性情의 체 용론의 관점에서 이 구절을 해석했지만, 다산은 모두 上帝의 照臨을 자각한 신독군자의 戒愼恐懼로 해석함을 살펴보았 다.

중국어

『中庸』是对儒家心性论和工夫论. 修养论等的综合论述经典. 本論文茶山丁若鏞对有别于宋代朱子『中庸』的独特诠释, 阐明他的实践性. 茶山认为『中庸』不是脱离现实且空虚的哲学理论. 本论文是研究当称‘不睹不聞’‘隱微’‘喜怒哀乐的未发为中’时, 对茶山之关于‘中’是什么概念所持的立场进行的一个整理研究. 朱子與茶山之的‘中’的本质是‘不偏不倚無過不及’. 朱子的‘庸’平常也, 茶山之‘庸’經常與恒常也. 朱子之‘不睹不聞’理也. 茶山之不睹不聞 上帝也. 朱子之隱微, 暗處細事也. 茶山之隱微, 天之體與用也. 朱子之獨, 人不知而己知之也. 茶山之愼獨, 戒愼恐懼也. 朱子之未發主體, 衆人也, 茶山之未發主體, 愼獨君子也.

목차

논문요약
 Ⅰ. 理學에서 昭事上帝學으로
 Ⅱ. ‘中庸’이란?
 Ⅲ. ‘不覩不聞’, ‘隱微’ 그리고 ‘未發’에 대한 해석
 참고문헌
 中文摘要

저자정보

  • 임헌규 林憲圭. 강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