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별기획 <『중용』의 한국적 전개>

陽明의『中庸』觀 硏究 — 『傳習錄』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Wang yangming's insight for <zhongyong>(中庸) - focusing on chunxilu(傳習錄)

양명의『중용』관 연구 — 『전습록』을 중심으로 —

임홍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왕양명 철학의 개념과 구조는 『대학』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왕양명은 『대학』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여 마침내 주희의 『대학』해석과는 다른 자신만의 학문 체계를 형성하기에 이른다. 이와 더불어 그는 『중용』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도 희노애락 등 감정의 미발이발과 중화 등 『중용』의 개념 설명에서 주자와는 다른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왕양명은 『대학』과 『중용』의 관계에 대해 “자사가 『대학』전체의 뜻을 총괄하여 『중용』의 첫 번째 장을 지었다 .”고 평가할 만큼, 왕양명 사상에 있어 『대학』과 『중용』은 매우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하겠다. 『대학』과 『중용』은 공부 방법에 있어 같은 목적을 추구하고 있으니, 『대학』은 성의 공부를 통하여 지선한 경지에 오르는 것을 추구하고 있으며, 『중용』은 성신 공부를 통해 지성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을 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대학』과 『중용』은 성실하게 한다[誠]는 하나의 공부를 통해 지극한 경지에 오르는 것을 공동의 목표로 삼고 있는 것 이다. 이처럼 양명에게 있어 『대학』과 『중용』은 서로 분리하여 말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양명의 『중용』관련 언급 가운데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 것은 『중용』1장에 관해서이다. 『중용』1장은 『 대학』의 전체 의미를 포괄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용』에서는 성(誠)이라는 개념을 통해 본체와 공부를 설명하고 있다. 양명은 『중용』1장을 풀이하면서 본체에 대한 깨달음보다는 수도 공부를 통해 본체를 파악하는 공부를 중시하는 입장 을 취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수도 공부로 ‘경계하여 삼가면 두려워한다’는 계신공구를 제시하고 있으니, 양명에게 있어 계신공구는 신독이고 치중화이며 치양지 공부에 다름 아니다. 여기에서 양명은 『중용』의 공부 방법을 『대학』의 그 것과 연관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어

王阳明哲学的概念和结构是跟<大学>有密切相关的。 王阳明实行对于<大学>的新解释, 终于形成了跟朱熹的解释不同的学问系统。 并且他在解釋<中庸>的未發已發中和的時候, 他揭示了和朱熹不同的意见。关于<大学>与<中庸>的关系, 王阳明说:“子思括<大學>一書之義, 爲<中庸>首章。” 在工夫方面, <大学>与<中庸>有同样的目标:<大学>通过诚意工夫达到至善的境界;<中庸>通过诚信工夫达到至诚的境界。 这样, <大学>与<中庸>有同样的目标。 它们追求通过诚工夫达到最高的境地。 在阳明那里, <大学>和<中庸>绝不能分开说的。对于<中庸>阳明说的很不少, 其中最多的就是关于<中庸>一章的内容。 <中庸>一章包括<大学>的全内容。 <中庸>以诚来说明本体与工夫。阳明说明<中庸>一章的时候, 他更重视通过修道工夫来把握本体的方法。 他說修道就是戒愼恐懼, 戒愼恐懼就是慎独・致中和・致良知。 由此看来, 我们知道阳明把<大学>和<中庸>的工夫密切地连结起来了。

목차

논문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양명의 『중용』해석
  1. 命이 性이고, 性이 道이고, 道가 敎이다.
  2. 率性은 誠者의 일이고, 修道는 誠之者의 일이다.
  3. 戒愼恐懼가 修道이고, 中和는 性의 본체를 회복하는 것이다.
 Ⅲ. 나가는 말
 참고문헌
 中文摘要

저자정보

  • 임홍태 林洪兌. 영산대학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