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디지털 고문서 서체용례사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웹 사이트 설계

원문정보

On the Construction of Database and Web site for Digital Calligraphy Dictionary

이재열, 이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본고는 한국학 중앙연구원 자료정보화실에서 2013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고문서 서 체용례사전의 구축과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텍스트는 종이인쇄물과 비교할 수 없는 확장성과 연결성을 가지고 있으 며 바람직한 디지털화는 바로 이러한 장점을 충분히 살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서체용례 사전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살펴보고 이를 실제로 구현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기존 종이책 서체자전을 분석했을 때 (1)서체용례의 추출 대상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있고 (2)서체용례 를 보여줌에 있어서 실제 종이에 써지거나 돌 등에 새겨진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주지 않고 있으며(3)일반적인 서체용례 사전에서 서체용례는 한 글자 단위로 제시되며 단어 속에서 어떻게 쓰였는지, 다른 글자 또는 문장과의 관계는 제시되 지 않고 (4) 서체용례를 정렬, 배열하는 데 있어 서체용례 자체로서의 배열기준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종이책 서체자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우선 디지털 텍스트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디지털 서체용례사 전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찾아보았다. 디지털 텍스트는 (1) 종이책과 달리 물리적 용량의 제약이 없고 (2)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료배열의 자유로운 재구성 이 가능하며 (3) 막강한 검색기능과 (4) 다양한 연계에 의한 재구성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5) 또 이러한 장점들을 이 용하여 독자 (사용자)의 성격을 확장할 수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포털 고문서 서체용례사전은 이러한 지향을 근거로 개발되었다. 고문서자료관의 고문서 집성 원본이미지를 소스로 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서비스 시스템을 완성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고문서 서체용 례사전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서체용례의 제시에 있어 종이책이 가지고 있는 물리적 용량의 제약을 극복하고 종이책 서체자전과는 달리 이용 가능한 모든 자료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출처문서의 해당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료배열의 자유로운 재구성을 구현하였다. 셋째, 출처문서의 해당 메타데이터를 이용, 효율적인 검색기능을 구현하였다. 넷째, 서체용례와 출처문서 원본이미지와의 연계, 출처문서와 또 다른 고문서와의 연계 등 데이터 사이의 다양한 연계 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의 재구성이 가능하다. 다섯째, 암묵적으로 서예연구자로 한정된 종이책 서체자전에 비해, 고문서연구자 · 역사연구자 · 고문서에 관심 있는 일 반인 등 보다 다양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포털 고문서 서체용례사전은 단순히 종이책 서체자전의 내용을 웹사이트에 옮겨 놓은 것 이 아니라, 디지털 문서의 하이퍼텍스트적 성격을 최대한 살린 디지털 서체용례사전으로 구축되었다고 할 수 있다.

중국어

本稿论述了古文献书法用例词典建立过程。 古文献用例辞典是2013年韩国学中央研究院资料情报化室韩国学资料综合平台开发项目的子项目。 電子文檔比书面印刷品拥有强大扩展性与链接性, 所希望的数字化必须利用此强点。 本稿检讨了数字书法用例词典的发展方向与实现过程。首先针对现有书面书法字典分析结果为:第一、没有明确的提供关于书法用例出处对象的标准。 第二、没有直接利用现存纸面或者金石上面的书法用例。 第三、只提供一字为单位的书法用例, 没有提供单词为单位的书法用例, 而且无法掌握与其他字或者文章之间的关系。 第四、没有提供书法用例排列标准。 为了克服书面书法字典的限制, 分析电子文档的特征来, 探求电子书法词典的发展方向。 电子文档特征为:第一、与书面文档相比, 不存在物理容量的节约, 第二、可提供开放性个性化图形用户界面, 第三、高效率的检索功能, 第四、通过数据连接实现个性化用户界面, 第五、利用上述的特点, 可扩大服务对象范围。根据上述的电子书法辞典的发展方向, 建立了韩国学中央研究院韩国学资料综合平台古文献书法用例词典。 据古文献资料馆《古文书集成》的原本影像为基础, 建立了数据库与服务系统。 古文献书法用例词典的特别是:第一、书法用例层面克服了书面词典的物理容量节约, 提供全面的书法用例。第二、利用出处文件的元数据, 实现开放性个性化图形用户界面。第三、利用出处文件的元数据, 实现了高效率的检索功能。第四、通过书法用例与出处图像链接以及出处文件与其他古文献的链接等的数据连接, 实现个性化用户界面第五、服务对象限定为书法研究者书面书法辞典相比, 本系统的服务对象为古文献研究者和历史研究者以及爱好为古文献的公众。韩国学中央研究院韩国学资料综合平台古文献书法用例辞典不是单纯的书面辞典直接转换为电子文档的, 并尽力实现电子文档超文本属性的正宗电子书法用例辞典。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기존 서체자전 분석
 Ⅲ. 디지털 텍스트의 특징과 디지털 서체용례사전의 지향
 Ⅳ. 고문서 서체용례사전 구축과정
 Ⅴ. 결론
 참고문헌
 中文摘要

저자정보

  • 이재열 李在悅.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과정
  • 이현주 李賢珠.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