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공간의 재구성과 갈등

추상적 공간과 구체적 공간의 갈등 : 제주의 공간이용과 공간구조의 변화

원문정보

The Conflicts between Abstract Space and Concrete Space in the Case of the Jeju-Island

서영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both historical-structural aspect and socialpractices that produce specific space through the case of the Jeju-Island. Both natural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that has been recognized and lived as spaceof the Jeju have been the conditions of actions or practices of the Jeju people, butthese environments could not have existed without their actions or practices. Inorder to analyse these complex interrelations, this paper employs spatial social theoryproposed and developed by Henry Lefebvre. Lefebvre had tried to sophisticate spatialsocial theory that could deal with spatial aspect of our society. His idea on spacereached its high point in The Production of the Space. There have been controversiesaround his urban theories, but it is undeniable that he played a pivotal role ofinspiring a lot of geographers, sociologists and historians to introduce space intotheir research. With Lefebvre, this paper explores conflicts between dominant abstractspace and everyday concrete space(space of differences). From this point ofview, the case of Jeju through which we can explore how the development focusingtourism has eroded the spatial consciousness of Jeju people will be analyzed in termsof communal ties. And then it criticizes the modern urban development and discussesan alternativ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한국어

이 논문은 제주의 사례를 통해 특정한 공간을 생산하는 역사-구조적 조건과 그안에서 전개되는 인간행위자들의 실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제주의 공간으로인식되고 체험되어 온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은 제주인들의 행위와 실천의 조건이었지만 그들의 행위와 실천이 없이는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은 재생산되어 유지될수 없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본 논문은 앙리 르페브르로부터 연원하는 공간적사회이론을 적극 수용한다. 르페브르는 공간 그 자체에 대해서 천착하면서 1980년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하는 공간적 사회이론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다. 그의주저 󰡔공간의 생산󰡕에서 절정에 이른 공간이론은 ‘공간 물신론’이라는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지만 사회구조와 행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데서 공간이 얼마나 중요한 변수인지를 일깨워 주었다. 이 논문은 르페브르의 이론을 바탕으로 지배적인 추상공간과 일상의 구체공간 사이의 갈등을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본격적인개발 이후 제주도, 특히 제주시 지역이 겪고 있는 공간이용과 구조의 변화를 분석한다. 관광 중심의 개발 정책이 제주가 가지고 있었던 전통적 공간의식과 공동체 의식을 어떻게 침식하고 있는지를 추적한다. 이러한 사례 분석을 통해 추상공간이 지배하게 되는 근대적 도시 발전을 비판하고 다양한 차이를 허용하는 구체공간을 실현할 수 있는 대안적 도시재생의 방향에 대해서 논의한다.

목차

요약
 1. 머리말
 2. 공간의 의미구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
  1) 시간 중심의 세계 인식
  2) 르페브르의 공간이론 ― 공간의 생산
 3. 제주의 자연-문화 환경의 변화와 공간적 실천―르페브르적 해석
  1) 신화를 통해 구성된 재현의 공간
  2) 근대화의 충격 ― 관광산업 중심의 근대화
 4. 자본주의적 공간적 실천과 재현
  1) 지배적 공간 재현과 도시화
  2) 분열증적 정체성 ― 자본의 논리와 몸의 저항
 5. 담론적 실천(discursive practices) ― 몸의 체험과 도심 재생
  1) 경쟁하는 담론 ― 개발, 관리, 보존
  2) 제주의 구도심 재생
  3) 몸의 체험과 탈자본주의적 공간
 6.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서영표 Seo, Young-Pyo.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사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