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강원 지역의 유교 문화와 지역성 - 향교・향약의 정착 과정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Confucianism Culture and Regionality of Gangwon Area - Focusing on the settlement process of Hyanggyo and Hyangyak -

안세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tried to analyze the settlement process of Hyanggyo and Hyangyak in Gangwon area duting the Chosun dynasty. This is a part of long-range plan about pursuing Confucianism culture in Gangwon area. The reason why I take notice of this topic is that Hyanggyo and Hyangyak had important role in regional community as an institution and a moral standard. At the very beginning, I reviewed a series of events about regional Hyanggyo. And I realized that the status of Hyanggyo in Gangwon area was not absolute comparing to the other area. Especially, indigenous people wield strong influence over running Hyanggyo. Next. I studied conflicts which were occurred when Hyangyak took effect in Gangwon area with Samcheok as the central figure. And I assured that the indigenous culture of Gangwon was much strong that other area such Iike Yongnam. At the end, I obtained several implications about cultural exchange from this research. This would be a good guide to establish policies about culture recipient and diffusion. For example, Heo Kyun catched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Hyanggyo and Seowon when he wrote an article about Wonju Hyanggyo. And Heo Mok also tried to implement Hyangyak with proper understanding of regional culture.

한국어

본고는 강원 지역 유교 문화의 원형을 탐색하기 위한 장기 기획의 일환으로, 조선시대 향교와 향약이 강원 지 역에 정착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향교와 향약에 주목한 이유는 지역 사회에서 향교는 유교 교육이 시행되는 제도로서, 향약은 향촌 사회의 유교적 생활 규범으로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먼저 강원 지역 향교를 둘러싼 사건들을 검토해 보았는데, 이를 통해 강원 지역은 여타 지역에 비해 지역 사회 에서 향교가 차지하는 위상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었으며, 특히 운영의 과정에서 토착 세력의 입김이 상당히 강하게 작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삼척을 중심으로 향약이 강원 지역에 시행되면서 토착 문화와 빚 게 되는 갈등과 조정의 국면을 살펴보았다. 요컨대 강원 지역은 영남과 비교할 때 유교 문화가 활성화되지 않 았는데, 역으로 보면 지역의 토착 문화가 그만큼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화의 생명력이 중앙의 문화를 기 준으로 한 표준화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성에 있다는 점을 상기해 볼 때, 강원 지역에 유교 문화가 정착되는 과정은 상당히 역동적인 양상을 지니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강원 지역에 향교와 향약이 정착되는 과정을 검토 하면서, 문화의 전파와 수용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허균이 원주 향교의 중건기를 쓰면서 발견하였던 향교와 서원의 바람직한 관계 설정이나 허목이 삼척이라는 고을이 지니고 있는 문화적 전통을 이해하면서 향약을 시행하려고 한 노력 등이 그러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I. 지역 운화 원형의 탐색 방향
 II. 강원지역향교의위상과정착과정
 III. 강원 지 역 향약의 시행과 지역 문화와의 갈등
 IV. 강원 지역 유교 문화 정착 과정 의 특징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안세현 Ahn Se-Hyun. 강원대학교 한문교육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