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writer of this thesis considered the fact how the cherry blossoms became the symbolic icon which represents Japan and how they were accepted and expressed mainly with the eight collections of writings which were written under the orders of the Japanese emperor after the Man'yōshū and the Kokinshū, the death bed songs and the modern school songs(modern Shouk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Man'yōshū, the cherry blossoms are based on the wild cherry blossoms, and its expressions are simple and are frequently about the scenery of the seasons. The Songs, whose number is 141 of Bunge Rehder, 119 of plum blossoms, are about one-third of the number of songs about cherry blossomsFrom the latter part Man'yō, expressions got much more various as the cherry blossoms were transplanted to the nobility's gardens or to palaces and its songs which treat the cherry blossoms of a close range view as well as a distant view as aesthetical objects were sung. After the Kokinshū, as the Songs of the cherry blossoms increased dramatically, the cherry blossoms are designated as a flower of Japan, which we can confirm them by the Shūisū. After the Kokinshū, the Songs of the cherry blossoms secured its position as the aesthetical objects, and at the same time, new songs which treat the attachment and obsession increased dramatically. We can know that the songs about cherry blossoms are sung using ‘Mitate' with increased domain of the ideas and expressions. The Cherry blossoms are used as materials which represents wealth and prosperity, the beauty, eternity and extinction, meaninglessness. ‘Samurai' used cherry blossoms as ‘The symbol of death' which is associated with themselves who take on the death gracefully in the death bed songs. The cherry blossoms which became symbolic ideology of death means ‘ideal images of women in war', ‘soldier's death' in the modern school songs(modern Shouka). In Japanese history, we can know the cherry blossoms which is loved by Japanese is treated as aesthetical objects, on the other hand, considered, expressed with the flows of times as above.
한국어
『만요슈(萬葉集)』와 『고킨슈(古今集)』이후의 칙찬집・『산카슈(山家集)』・무사들의 임종가・근대의 창가 를 중심으로 벚꽃이 어떤 과정을 거쳐 일본을 대표하는 상징물로 자리 잡게 되었는지 시대에 따라 벚꽃을 어 떻게 받아들이고 표현했는지 그 변화에 관해 고찰해 살펴보았다.그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만요슈(萬葉集)』에서 벚꽃은 산벚꽃을 소재로 한 경우가 많으며 표현도 소박하고 대자연 속에 피어 있는 경물로서 읊고 있는 경우가 많다. 노래 수도 싸리꽃 141수 매화꽃 119수 벚꽃 43수로 매화꽃의 1/3수준이다. 만요 후기에 들어서면서부터는 귀족 정원이나 궁궐로 벚꽃이 옮겨 심어져 대자연 속의 원경뿐만 아니라 근경 에서 바라본 벚꽃을 미적 대상으로 하여 읊은 노래가 등장해 표현이 더욱 다양해진다. ・『고킨슈』이후 벚꽃에 관한 노래는 급증하고 꽃이라고 하면 벚꽃을 지칭하게 된다. 일본을 대표하는 꽃으 로 자리 잡은 것도 『슈이슈』의 노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고킨슈』이후 경물로 읊어지는 경우도 미적 대상으로서의 위치를 확보하며, 벚꽃에 대한 애착이나 집착을 읊은 새로운 표현이 현저히 증가한다. ・벚꽃을 소재로 한 노래들은 비유나 ‘미타테’를 이용하여 발상과 표현의 영역이 확장되어 읊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벚꽃은 부귀영화와 미인, 영원과 소멸, 무상감을 상징하는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무사들은 임종가에서 미련 없이 깨끗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자신들의 모습을 벚꽃이 지는 모습과 결부시켜 벚 꽃을 ‘죽음’의 상징으로 사용하고 있다. ・무사들의 죽음의 상징적 이념이 된 벚꽃은 군국주의 하의 창가 속에서는 ‘전쟁 중의 이상적인 여성상’을, 군 가 속에서는 ‘군인들의 죽음’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일본인의 사랑과 관심을 받은 벚꽃은 미적 대상으로서의 아름다움은 면면히 읊어지고 있지만 한 편에서는 이와 같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었고 표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목차
I. 첫머리에
II. 고전시가 속의 벚꽃 표현
III.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