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전문학>

高句麗 <于氏>의 女性英雄的 性格과 變移樣相 硏究 - 『三國史記』, 「山上王本紀」의 于氏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search of Heroism of "Woossi" in Goguryeo -In view of Charactor "Woossi" from 『SAMGUKSAGI』「SANSANGWANGBONGI」 -

고구려 <우씨>의 여성영웅적 성격과 변이양상 연구 - 『삼국사기』, 「산상왕본기」의 우씨를 중심으로 -

朴大福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observed originalities of heroine and its transfiguration through 'Woossi' that are the progressive women in Sansang of Gogu ryeo. First, as a result of observing Woossi's characters from their works, Woossi has been 'the female dominated heroine' to show their excellent ability superior to men. It tried to study the transfiguration of this story. Accordingly, in comparison with , , princess Pyeonggang had the same character as that of Woossi. Next, in comparison with the initial women's heroic novel, and it has been studied that Parkssi․Seolsojeo and are the same as that of Woossi. These works explained that the motives seen in are borrowed. Finally, in comparison with the late women's heroic novel, , it has been studied that Yihyeongyeong extended Woossi's showing female dominated heroine.

한국어

고구려의 여성 于氏는 자기의 運命을 개척하는 영웅적 능력을 지닌 인물이다. 이 논문은 <우씨>서사 의 여성영웅적 성격을 파악하고 여성영웅소설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우씨>의 서사는 왕위계승․두 왕의 왕후 되기'‘남장․혼사장애․대리인 세우기․전란에 명분․택부’ 등의 화소를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이것이 영웅적 성격을 나타내는 요체가 된다고 보았다. 영웅적 성격의 변이양상은 <우씨>가 <온달>․<설죽화>, 그리고 <박씨전>․<설저전>․<이현경전>과 일정한 연관성을 지니면서 변모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여성영웅소설이 조선시대에 형성기를 거쳐 전형적인 유형으로 형상화되었다 하더라도, <우씨>를 비 롯한 고대 서사작품의 전통은 여성영웅소설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다.

목차

【국문초록】
 1. 序論
 2. <于氏>의 敍事段落과 女性英雄的 性格
 3. 女性英雄的 性格의 變移樣相
 4.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朴大福 박대복. 中央大學校 國語國文學科 敎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