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전문학>

조선 후기시조와 ‘日常’의 재발견

원문정보

The Latter period of the Josun's Sijo and Rediscovery of The day-to-day

조선 후기시조와 ‘일상’의 재발견

김상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the latter period of the Josun's Sijo and the day-to -day. Not simple definition of everyday that looks like a normal to think, to disagree, depending on perspective. In th is paper, this agree with the sense of day-to-day defined in genre painting of the latter Josun. Therefore, in this paper has also studied for the day-to-day that genre painting, scholar of the Chinese classics and Silhak scholar(實學者). For the sake of discussion, I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he day-to-day of the latter period of the Josun's Sijo. The first is the introduction of a popularly conversation. The former Sijo in also story appears. However, this works are number not many and the function is difference. But, the latter Sijo are many have works. And a conversation for communication, so that expressed the reality. In the second, the motif and theme of physical science appeared. In other words, motif and theme that can be easily viewed on the around us appeared. That is very small, and little, and boring. So, that is are closely related to the life of common people. The last element is a sense of beauty. This is more comprehensive. In other words, they want to express the sense of comic beauty and humorous beauty. There is, personal pleasure and addiction of eroticism. And, it's appearance of hypocrisy and falsehood. This is all the state that has been found in the society of the time. Thus, the figure of the latter period of the Josun's society that will change in various sectors of the community is reflected in the Sijo. And, there is a day-to-day in the center.

한국어

국이 논문은 조선 후기시조를 대상으로, 작품에 나타난 일상의 모습을 천착함을 그 목적으로 삼는다. 평범한 것처럼 보이는 일상의 정의는 생각처럼 단순하지 않고, 관점에 따라 의견을 달리한다. 다만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풍속화에서 정의하는 일상의 의미에 따른다. 그러므로 풍속화에서 제시한 일상 의 문제와 더불어 그와 동일한 시기의 한학자나 실학자들의 일상에 대해서도 주목하였다. 일상에 대한 이러한 전반적인 검토를 토대로 조선 후기시조에 나타난 일상의 문제를 세 가지로 범주 화 하였다. 첫째는 시조의 표현과 관련된 것으로 통속적 대화체의 도입이다. 전기 시조에서도 대화가 등장한다. 하지만 그 숫자가 많지 않고 기능도 다르다. 이에 반해 후기시조에서는 그 숫자도 늘어나 고 의사소통으로서의 대화가 시조에 등장하여 리얼리티를 구현한다. 둘째로는 형이하학적 주제와 소 재의 등장을 꼽을 수 있다.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약하고 소소한 소재나 서민들의 생활에서 야 기되는 다양한 일들을 주제로 삼으면서 현실의 삶을 재현한다. 마지막 요소는 보다 종합적인 것으로 미의식의 문제이다. 즉 희극적이거나 골계적 미의식을 표현한 다는 것이다. 후기사회의 변화로 말미암아 도시 유흥이 발달하고, 이로써 놀이의 현장에서 느끼는 개 인적 흥취나 에로티시즘의 면모를 묘사한다. 또는 허위나 위선 등 당시의 사회에서 포착할 수 있는 다양한 현실을 노래하며 희극적이고 골계적인 미의식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사회의 다양한 분야 에 걸쳐 변화되어 가는 조선 후기사회의 모습이 시조에도 반영되어 변화의 양상을 띠게 되었다. 그리 고 그 중심에 일상이 자리하고 있음을 검토 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시작하는 말
 2. 조선 후기사회와 日常性
 3. 조선 후기시조와 日常의 구현
 4. 희극적 또는 골계적 미의식의 표현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상진 Kim, Sang-jean. 한양대학교 한국언어문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